[비즈니스포스트] 증권업종의 3분기 실적이 양호한 영업환경으로 2분기 보다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돼 투자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최선호주로는 한국금융지주가 제시됐다.
이홍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8일 “증권업은 일평균 거래대금 증가 등 지난 분기보다 양호한 형업환경에 놓여있다”며 “증권업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하며 한국금융지주를 최선호주로 제시한다”고 바라봤다.
3분기 들어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2분기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거래대금증가는 증권사 주식 중개 수수료 이익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원은 “7월부터 8월까지 누적 일평균 거래대금은 누적 24조9천억 원으로 2분기 대비 17.9% 늘어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며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하는 신용공여 융자잔고도 6월 말보다 4.3%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객예탁금은 8월에 7월보다 7.9% 줄었지만 브로커리지(주식 중개) 이익은 2분기보다 늘어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시장금리 변동성 축소과 일회성 요인 제거 등이 증권사 3분기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시장금리 변동성은 6월보다는 줄어 채권 매매평가손익도 2분기보다 개선될 것이다”며 “IB수익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지만 부동산 및 CFD(차액결제거래) 손실 등 일회성 요인을 감안하면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 증가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최선호주로는 한국금융지주가 제시됐다.
이 연구원은 “주가가 8월 들어 소폭 반등했지만 연간으로 유일하게 내린 한국금융지주 저점 매수가 여전히 유효하다”며 “증권업종 가운데 최선호주를 유지한다”고 바라봤다.
배당매력이 높은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도 눈여겨봐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은 올해 기대 배당수익률이 각각 7.3%와 6.8%로 배당 투자처로서 매력이 부각된다”며 “두 곳은 해외 부동산 관련 위험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워 실적 변동성도 낮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김환 기자
이홍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8일 “증권업은 일평균 거래대금 증가 등 지난 분기보다 양호한 형업환경에 놓여있다”며 “증권업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하며 한국금융지주를 최선호주로 제시한다”고 바라봤다.

▲ 증권업종 투자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선호주는 한국금융지주가 제시됐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증권사들.
3분기 들어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2분기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거래대금증가는 증권사 주식 중개 수수료 이익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원은 “7월부터 8월까지 누적 일평균 거래대금은 누적 24조9천억 원으로 2분기 대비 17.9% 늘어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며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하는 신용공여 융자잔고도 6월 말보다 4.3%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객예탁금은 8월에 7월보다 7.9% 줄었지만 브로커리지(주식 중개) 이익은 2분기보다 늘어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시장금리 변동성 축소과 일회성 요인 제거 등이 증권사 3분기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시장금리 변동성은 6월보다는 줄어 채권 매매평가손익도 2분기보다 개선될 것이다”며 “IB수익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지만 부동산 및 CFD(차액결제거래) 손실 등 일회성 요인을 감안하면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 증가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최선호주로는 한국금융지주가 제시됐다.
이 연구원은 “주가가 8월 들어 소폭 반등했지만 연간으로 유일하게 내린 한국금융지주 저점 매수가 여전히 유효하다”며 “증권업종 가운데 최선호주를 유지한다”고 바라봤다.
배당매력이 높은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도 눈여겨봐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은 올해 기대 배당수익률이 각각 7.3%와 6.8%로 배당 투자처로서 매력이 부각된다”며 “두 곳은 해외 부동산 관련 위험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워 실적 변동성도 낮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