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4월 은행권 예대금리차가 줄어들며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신규 주택담보대출상품의 고정금리 비중은 80%로 집계됐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금리와 대출금리 사이 차이는 1.58%포인트였다. 지난달보다 0.03%포인트 줄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저축성 금리와 대출금리 모두 하락했지만 대출금리 하락폭이 더 커 예대금리차가 줄었다.
4월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5.01%로 3월보다 0.16%포인트, 저축성 수신금리는 3.43%로 0.13%포인트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월 신규취급 대출 가운데 기업대출 금리는 5.09%로 0.16%포인트 감소했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0.18%포인트,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0.14%포인트 감소했다.
4월 신규취급 가계대출 금리는 4.82%로 3월보다 0.14%포인트 줄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금리는 0.16%포인트 감소했다.
4월 신규취급 저축성 수신 상품 가운데 순수저축성예금의 금리는 0.12%포인트 내린 3.41%였다. 시장형 금융상품의 금리는 3.50%로 0.20%포인트 가량 하락했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58%로 3월보다 0.02%포인트 내렸다. 2월과 3월에는 2.60%을 유지했지만 3개월 만에 하락했다.
이밖에 가계대출 가운데 4월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상품 비율은 80.7%였다. 3월(79.4%)보다 비중이 즐었다. 반면 잔액 기준 고정금리 상품 비중은 39.4%였다.
올해 도입된 특례보금자리론이 흥행을 거두며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고정금리 상품 비중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김환 기자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금리와 대출금리 사이 차이는 1.58%포인트였다. 지난달보다 0.03%포인트 줄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 4월 은행권 예대금리차가 줄어들며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신규 주택담보대출상품의 고정금리 비중은 80%로 집계됐다고 한국은행이 집계했다.
저축성 금리와 대출금리 모두 하락했지만 대출금리 하락폭이 더 커 예대금리차가 줄었다.
4월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5.01%로 3월보다 0.16%포인트, 저축성 수신금리는 3.43%로 0.13%포인트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월 신규취급 대출 가운데 기업대출 금리는 5.09%로 0.16%포인트 감소했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0.18%포인트,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0.14%포인트 감소했다.
4월 신규취급 가계대출 금리는 4.82%로 3월보다 0.14%포인트 줄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금리는 0.16%포인트 감소했다.
4월 신규취급 저축성 수신 상품 가운데 순수저축성예금의 금리는 0.12%포인트 내린 3.41%였다. 시장형 금융상품의 금리는 3.50%로 0.20%포인트 가량 하락했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58%로 3월보다 0.02%포인트 내렸다. 2월과 3월에는 2.60%을 유지했지만 3개월 만에 하락했다.
이밖에 가계대출 가운데 4월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상품 비율은 80.7%였다. 3월(79.4%)보다 비중이 즐었다. 반면 잔액 기준 고정금리 상품 비중은 39.4%였다.
올해 도입된 특례보금자리론이 흥행을 거두며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고정금리 상품 비중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