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의 요금제를 변경한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지역에 관계없이 고정된 기본요금을 지역별로 차등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비스 이용요금이 다소 비싸다는 지적을 의식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
|
|
▲ 카카오의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 홍보이미지. |
카카오는 7월1일 오후 2시부터 카카오드라이버에 ‘지역별 요금제’를 적용한다고 29일 밝혔다. 5월31일 서비스를 시작한지 약 한달 만에 요금체계가 바뀐다.
카카오는 대전과 대구, 부산, 광주, 울산의 경우 기본요금을 현행 1만5천 원에서 1만2천 원으로 3천 원 내리고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세종, 제주는 기본료를 5천 원 낮추기로 했다.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를 한 달간 운영하며 파악한 지역별 서비스 물가를 요금제에 반영하기 위해 카카오드라이버 요금제 변경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드라이버는 지금까지 지역에 상관없이 기본요금 1만5천 원을 받았고 시간과 거리에 비례해 추가요금이 1천 원씩 올라가는 구조였다.
카카오가 요금제를 한달 만에 변경하기로 한 근본적 이유는 요금이 비싸다는 일부 이용자들의 지적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카카오드라이버 요금제가 알려진 뒤 일각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대리운전 요금보다 오히려 더 비싸다며 카카오드라이버 요금제가 잘못 정해졌다는 말이 많았다.
카카오드라이버에 적용된 요금제가 기준이 될 경우 지역별 대리운전 이용요금이 상향 평준화 된다는 비판도 일각에서 제기됐다.
카카오는 요금제를 변경하는 것 외에 카카오드라이버 서비스가 뿌리를 내리도록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서비스를 운영하며 쌓은 고객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세밀한 마케팅도 실시하기로 했다.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가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도 업계와 상생방안을 찾기 위한 대화는 지속하되 카카오드라이버 서비스를 고의로 방해하거나 기사회원의 탈퇴를 종용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대처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