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장관 이정식 “조선업 상생협의체에서 고용구조 근로조건 개선 논의”

▲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왼쪽에서 두 번째)이 30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조선업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조선업 상생협의체'를 만드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조선업 노동시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힘을 모으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 장관은 30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조선3사(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대표와 함께한 간담회에서 “조선업 원하청 사이 임금격차가 상당한 수준이고 협력업체 근로자들은 산업재해와 임금체불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조선업 상생협의체에서 원하청 노사가 고용구조 및 근로조건 개선을 협의해 실천해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상균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우제혁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 등이 이날 각 기업을 대표해 간담회에 참석했다.

정부는 정부,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선업 상생협의체’를 구축해 원하청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이밖에도 △원하청 사이 공정거래 문화 확산 △협력업체 근로자의 근로조건 환경 개선 △직무 숙련도에 기반한 기능인력 보상체계 개편 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 장관은 “조선3사가 이중구조 문제를 풀어나갈 열쇠를 쥐고 있는 만큼 상생협의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간담회에 앞서 주요 조선사 대표이사 및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참석한 산업안전보건리더회의도 개최했다.

이 장관은 이 회의에서 “하청 근로자 사고위험을 해고하기 위해서는 원청과 원청 대표이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하청업체의 안전보건 수준 개선은 생산성의 향상과 원청의 기업가치 상승으로 되돌아올 것이다”고 말했다.

조선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숙련을 필요로 하는 고위험 작업이 많고 대외적 경기 요인에 생산량이 크게 변해 빈번한 인력교체가 이뤄져 사고위험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조선업에서 56건, 65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69.6%(39건, 47명)가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였다.

이 장관은 “정부도 올해 10월 안에 기업의 자율과 책임에 근거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마련하는 등 세계 10위 경제대국에 걸맞은 안전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