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새마을금고가 대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상반기에 순이익이 대폭 늘었다.
새마을금고는 금리 상승기에 오히려 대출이 늘어 자산 증가세를 보인 것인데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이 목표로 내세운 자산 300조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일 새마을금고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순이익은 6783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52.5% 증가했다.
상반기 여신잔액(대출채권)은 190조4918억 원으로 지난해 6월 154조7445억 원보다 23.1% 증가했다.
상반기 수신잔액(예수부채)은 234조5781억 원이다. 2021년 6월 199조7179억 원 대비 17.4% 늘어났다.
대출채권의 증가는 정부가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해 은행권을 대출을 옥죄자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객들이 대출상환을 하면 금리상승기에 신규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며 기존 대출을 연장한 것도 대출채권 증가 원인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자영업자들은 대출을 한번 받기가 쉽지 않다”며 “기존 대출을 가능한 연장을 해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전통적 영업망인 지점을 유지해 나가는 전략도 대출채권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디지털금융을 강화하면서 점차 지점을 줄여가고 있다.
이와 달리 새마을금고는 아직 디지털금융에 익숙하지 못한 세대와 농촌 등에서 금융 사각지대가 많다고 판단하고 전국의 약 3200여 개의 지점을 줄이지 않고 오히려 늘려나가고 있다.
이러한 지점망 유지 전략이 금리상승기에 투자처를 찾지 못한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여 자금을 흡수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점포수를 유지하면서도 디지털금융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시장 상황과 맞물리면서 순이익 증가와 자산 상승으로 나타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호실적에 힘입어 새마을금고의 총자산도 263조7176억 원으로 지난해 6월과 비교해 17.3% 증가했다.
이와같이 자산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자산 300조 시대를 열겠다는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목표도 그 달성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박 회장은 새마을금고중앙회장에 오른 지 2년4개월 만에 자산을 50조 원 늘리며 자산 200조 시대를 열었다.
박 회장은 올해 임기 4년의 연임 임기를 시작하면서 자산 300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내보였다.
박 회장은 자산 300조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올해 디지털창구와 태블릿브랜치의 정착, 빅데이터에 기반한 개인화 서비스, 마이데이터서비스 참여 등도 추진하고 있다. 조승리 기자
새마을금고는 금리 상승기에 오히려 대출이 늘어 자산 증가세를 보인 것인데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이 목표로 내세운 자산 300조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새마을금고가 대출 수요 증가 덕에 순이익이 대폭 늘었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5일 새마을금고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순이익은 6783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52.5% 증가했다.
상반기 여신잔액(대출채권)은 190조4918억 원으로 지난해 6월 154조7445억 원보다 23.1% 증가했다.
상반기 수신잔액(예수부채)은 234조5781억 원이다. 2021년 6월 199조7179억 원 대비 17.4% 늘어났다.
대출채권의 증가는 정부가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해 은행권을 대출을 옥죄자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객들이 대출상환을 하면 금리상승기에 신규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며 기존 대출을 연장한 것도 대출채권 증가 원인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자영업자들은 대출을 한번 받기가 쉽지 않다”며 “기존 대출을 가능한 연장을 해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전통적 영업망인 지점을 유지해 나가는 전략도 대출채권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디지털금융을 강화하면서 점차 지점을 줄여가고 있다.
이와 달리 새마을금고는 아직 디지털금융에 익숙하지 못한 세대와 농촌 등에서 금융 사각지대가 많다고 판단하고 전국의 약 3200여 개의 지점을 줄이지 않고 오히려 늘려나가고 있다.
이러한 지점망 유지 전략이 금리상승기에 투자처를 찾지 못한 고객들의 접근성을 높여 자금을 흡수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점포수를 유지하면서도 디지털금융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시장 상황과 맞물리면서 순이익 증가와 자산 상승으로 나타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호실적에 힘입어 새마을금고의 총자산도 263조7176억 원으로 지난해 6월과 비교해 17.3% 증가했다.
이와같이 자산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자산 300조 시대를 열겠다는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목표도 그 달성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박 회장은 새마을금고중앙회장에 오른 지 2년4개월 만에 자산을 50조 원 늘리며 자산 200조 시대를 열었다.
박 회장은 올해 임기 4년의 연임 임기를 시작하면서 자산 300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내보였다.
박 회장은 자산 300조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올해 디지털창구와 태블릿브랜치의 정착, 빅데이터에 기반한 개인화 서비스, 마이데이터서비스 참여 등도 추진하고 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