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조선사들이 1분기 선박 발주량의 50% 넘는 물량을 수주해 1위를 차지했다.
6일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3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23만CGT(표준선 환산톤수, 88척)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은 164만CGT(35척)를 수주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136만CGT로 점유율 42%를 보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올해 1분기 선박수주 실적은 전 세계 선박발주량 920만CGT(259척)의 약 50%인 457만CGT(97척)으로 중국(386만CGT)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조선사들이 1분기 수주집계에서 중국을 앞선 것은 2015년 이후 7년 만이며 분기기준 시장점유율이 50%에 달한 것은 클락슨 리서치가 데이터를 공개한 1996년 이후 처음이다.
한국 조선사들은 1~3월 발주된 대형 컨테이너선(1만2천TEU급 이상) 38척 가운데 21척(55%), 대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14만㎥ 이상)도 37척 가운데 26척(70%) 수주하는 등 주력 선종에서 절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건조가격을 나타내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6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3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56.17포인트로 2월보다 2포인트 올랐다. 조장우 기자
6일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3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23만CGT(표준선 환산톤수, 88척)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은 164만CGT(35척)를 수주해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대형 LNG운반선. <한국조선해양>
중국은 136만CGT로 점유율 42%를 보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올해 1분기 선박수주 실적은 전 세계 선박발주량 920만CGT(259척)의 약 50%인 457만CGT(97척)으로 중국(386만CGT)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조선사들이 1분기 수주집계에서 중국을 앞선 것은 2015년 이후 7년 만이며 분기기준 시장점유율이 50%에 달한 것은 클락슨 리서치가 데이터를 공개한 1996년 이후 처음이다.
한국 조선사들은 1~3월 발주된 대형 컨테이너선(1만2천TEU급 이상) 38척 가운데 21척(55%), 대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14만㎥ 이상)도 37척 가운데 26척(70%) 수주하는 등 주력 선종에서 절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건조가격을 나타내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6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3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56.17포인트로 2월보다 2포인트 올랐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