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 변수에 대응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계획보다 크게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심각한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지만 가파른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미국 경제에 더 큰 위험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현지시각으로 10일 “연준이 3월에 기준금리를 최소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수 개월 안에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물가 상승의 여파가 커지자 연준은 이를 방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공격적 금리 인상 계획을 검토하고 있었다.
올해 연준의 금리 인상이 모두 7차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증권가에서 나오고 있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연준이 3월 이후 추가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큰 실수를 하게 될 것”이라며 “올해 중순 이후까지 금리 인상 시기를 늦춰야만 할 수도 있다”고 바라봤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추가로 물가 상승을 이끌어 인플레이션이 더 악화할 수도 있지만 이런 사태가 장기화되면 결국 전 세계적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여 물가 인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국제유가와 물가가 지나치게 오른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 오히려 소비가 크게 위축되고 경제 성장 저하로 이어지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기존 예정에 맞춰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면 경기 불황이 발생했을 때 다시 기준금리를 내려야만 할 수도 있다”며 “리스크가 큰 선택”이라고 바라봤다.
당분간 기준금리를 변동 없이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경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더 효과적 방법이라는 것이다.
미국 CNBC도 연준이 경기 침체 등 가능성을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만 하는 시점이라고 바라봤다.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어 연준이 경기 악화 가능성을 감수하고 기준금리 인상을 추진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CNBC는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되는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우려가 시장에 퍼지고 있다”며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주식시장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연준이 금리 인상에 브레이크를 걸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