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는 다시 16%대로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결과적으로 최근 4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한국투자공사의 대체투자 확대가 지지부진한 이유로는 지속적 인력 유출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투자공사에서는 지난해 11월까지 전체 퇴사인원 16명 가운데 대체투자 인력이 11명에 이를 정도로 대체투자 관련 인력의 유출이 심각하다.
한국투자공사가 공기업인 만큼 민간 영역과 비교하면 성과급 등 처우 문제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구조적으로 대체투자 인력의 유출을 막기가 쉽지 않은 셈이다.
최희남 전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지난해 2월 퇴임 전 언론 인터뷰에서 “밖에서 잡아당기는 힘이야 어쩔 수 없더라도 조직 내에서 밀어내는 힘이 약해지게 만들려면 공공기관이라는 제약 요인에서도 성과에 바탕을 둔 보상체계를 많이 강화하는 게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투자공사의 투자인력 처우 문제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적을 받기도 했다.
진 사장은 지난해 10월 국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직원 처우 문제와 관련한 의원들의 지적에 “국부펀드는 공공기관이라 임금을 많이 올려줄 수 없는 한계가 있다”며 “내부적으로 조직에서 성장 기회를 많이 주려고 하고 있고 인재양성 중장기 플랜을 만드는 등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