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강이 국내 철근 가격 상승에 따라 2분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15일 “대한제강이 YK스틸을 인수해 국내 철근시장에서 가격 협상력이 커진 데다 아파트 분양시장 호조로 국내에서 철근수요가 증가하면서 2021년 2분기부터 깜짝실적을 낼 것으로 보인다”며 “2022년까지 국내 철근업황이 좋아 대한제강의 실적 호조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국내 철근 가격은 아파트 분양시장 호조로 증가한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철근 수요는 약 1100만 톤으로 2020년 1천만 톤보다 10%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중국 정부가 올해 중국 철강기업에게 제공하던 수출 증치세(부가가치세) 환급제도를 폐지하면서 한국에 유입되던 중국 철강제품들의 가격 경쟁력도 낮아졌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철강재 수출 물량과 관련해 13%가량의 증치세를 환급해 줬지만 올해 5월1일부터 이 제도를 폐지했다.
대한제강은 국내 철근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2분기 ‘깜짝실적’을 낼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대한제강은 2021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009억 원, 영업이익 594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2분기보다 매출은 102.8%, 영업이익은 168.77% 증가하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YK스틸을 인수하면서 철근 생산능력을 키워 가격 협상력을 높인 것이 수익성 개선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대한제강은 국내에서 2020년 말 철근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2019년보다 2계단 상승한 3위를 차지했다.
YK스틸을 인수하기 이전까지 대한제강의 철근 생산능력은 연간 155만 톤 규모였지만 2020년 9월에 YK스틸 지분을 50.1% 인수한 이후 273만 톤까지 뛰었다.
특히 2위인 동국제강과 생산격차도 2만 톤으로 좁혔다.
2021년 대한제강은 매출 1조7372억 원, 영업이익 1682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매출은 58.5%, 영업이익은 105.6%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15일 “대한제강이 YK스틸을 인수해 국내 철근시장에서 가격 협상력이 커진 데다 아파트 분양시장 호조로 국내에서 철근수요가 증가하면서 2021년 2분기부터 깜짝실적을 낼 것으로 보인다”며 “2022년까지 국내 철근업황이 좋아 대한제강의 실적 호조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 오치훈 대한제강 대표이사 사장.
국내 철근 가격은 아파트 분양시장 호조로 증가한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철근 수요는 약 1100만 톤으로 2020년 1천만 톤보다 10%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중국 정부가 올해 중국 철강기업에게 제공하던 수출 증치세(부가가치세) 환급제도를 폐지하면서 한국에 유입되던 중국 철강제품들의 가격 경쟁력도 낮아졌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철강재 수출 물량과 관련해 13%가량의 증치세를 환급해 줬지만 올해 5월1일부터 이 제도를 폐지했다.
대한제강은 국내 철근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2분기 ‘깜짝실적’을 낼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대한제강은 2021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009억 원, 영업이익 594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2분기보다 매출은 102.8%, 영업이익은 168.77% 증가하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YK스틸을 인수하면서 철근 생산능력을 키워 가격 협상력을 높인 것이 수익성 개선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대한제강은 국내에서 2020년 말 철근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2019년보다 2계단 상승한 3위를 차지했다.
YK스틸을 인수하기 이전까지 대한제강의 철근 생산능력은 연간 155만 톤 규모였지만 2020년 9월에 YK스틸 지분을 50.1% 인수한 이후 273만 톤까지 뛰었다.
특히 2위인 동국제강과 생산격차도 2만 톤으로 좁혔다.
2021년 대한제강은 매출 1조7372억 원, 영업이익 1682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매출은 58.5%, 영업이익은 105.6%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