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한 사장은 22일 열릴 산업재해 청문회에서 다른 증인들보다 여야 의원들의 질책을 집중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그룹이 제철소 사망사고 등 잇달아 발생한 산업재해로 여론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는 데다 건설업계 증인 가운데 현직 최고경영자(CEO)는 한 사장이 사실상 유일해 의원들의 질문이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산업재해 청문회 증인으로 건설업계에서 현대건설, GS건설, 포스코건설 대표를 각각 선정했는데 실제 경영을 이끄는 현직 최고경영자가 증인으로 출석하는 곳은 포스코건설이 유일하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말 승진한 최고경영자 윤영준 사장이 아직 대표이사 내정자라는 점이 고려돼 이원우 플랜트사업본부장(부사장)이 증인으로 나선다.
GS건설은 우무현 최고안전책임자(사장)가 증인으로 뽑혔는데 임병용 대표이사 부회장이 지난해 국정감사를 포함해 3번이나 국회에 출석한 점이 반영됐을 것으로 건설업계는 보고 있다.
2020년 취임한 한 사장이 산업재해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게 된 이유로는 취임 전인 2017~2019년 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사망사고와 관련해 재발방지 대책을 어떻게 마련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는 시선이 나온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2017~2019년 사이에 산업재해 사망자가 19명으로 모든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한 사장의 증인 출석은 임기 동안 발생한 산업재해를 책임진다기보다는 과거 사고를 수습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내놓는 성격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다만 국회는 강력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했는지 따져 물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한 사장으로서는 지난해부터 추진해왔던 안전대책의 실효성을 입증하는 일이 중요할 수 밖에 없다.
한 사장은 드론, CCTV, 스마트영상장비 등 스마트건설기술을 활용해 산업재해를 줄이는 데 힘을 쏟고 있는데 지난해 사망사고가 다소 줄었다.
포스코건설 현장에서는 지난해 2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2017~2019년 동안 해마다 6명 이상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점과 비교하면 산업재해 예방장치가 현장에서 어느정도 위험상황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 사장으로서는 산업재해 청문회에서 지난 1년 동안 추진한 안전대책이 작동하고 있으며 사망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는 셈이다.
한 사장은 지난해 1월 취임 첫 공식 행보로 안전 기원행사를 선택할 만큼 안전 강화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올해 신년사에서도 현장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기겠다며 “안전이 최우선 가치라는 안전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내년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대형건설사 최고경영자들이 올해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산업재해 예방을 정할 수 밖에 없다는 말도 나온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따르면 사망사고와 관련해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징역 1년 이상 또는 벌금 10억 이하의 처벌을 받는다. 처벌 대상이 되는 경영책임자는 대표이사 또는 안전관리이사다.
대형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산업재해는 재해정도와 원인 등을 시간을 두고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확정시점이 보통 6개월에서 1년가량 걸린다”며 “따라서 올해 발생하는 사고가 내년 산업재해로 잡히면서 건설사 경영진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