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전남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김 지사가 2020년 발표한 해상풍력발전 방안보다 2년 이상 앞당겨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에서 2020년 7월 발표한 ‘해상 풍력발전방안’에는 3단계 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계획 가운데 1단계의 시작이 2022년, 2단계는 2026년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전남도는 1단계를 2020년 시작해 기존 계획보다 2년을, 2단계를 2022년부터 계획해 4년을 앞당겼다.
산업연구원은 2020년 조사한 ‘풍력설비산업 기초분석’에서 국내 해상 풍력발전사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조선, 중공업, 해양플랜트, 건설, 전기, 정보기술(IT) 등 연관산업을 접목했을 때 세계시장을 선점할 만큼 경쟁력이 있으며 전력 수요가 늘고 있는 동남아시아와 중남미에서의 투자확대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2020년 11월7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으로 싱가포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메가 자유무역협정(대규모 경제권을 지난 국가 여럿이 모이는 자유무역협정)을 맺었다.
정부가 지금 추진하고 있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까지 맺어지면 멕시코, 페루 등 중남미 국가들과도 메가 자유무역협정에 함께 들어가 투자협력을 맺는 일이 더 쉬워진다.
정부는 2035년까지 원자력발전소의 40%의 가동을 중단하고 석탄발전소 50%를 폐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의 실질 배출량을 ‘0(영)’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세계 해상 풍력발전 연간 투자비는 2018년 기준 194억 달러에서 2050년까지 2조7500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남은 서해안의 평균 수심이 40m 미만으로 얕고 풍속도 평균 초당 7.2m로 적절해 지리적 이점이 크고 지역 주력산업인 조선, 철강산업도 연관성이 높아 대규모 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적합하다.
이런 전망에 김 지사는 5일 전남 신안군 임자대교에서 한국판 뉴딜 추진을 위한 ‘지역균형 뉴딜투어’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이신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남지역본부 의장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전남형 지역균형 뉴딜의 핵심인 해상 풍력발전단지는 투자 규모가 48조5천억 원으로 98% 민간에서 주도하는 정부지원·민간주도 모델이다.
전남 신안 해상 풍력발전단지 사업은 한국전력과 SKE&S, 한화건설 등 민간발전사 및 두산중공업·씨에스윈드, 삼강엠앤티 등 해상풍력 제조업체 등이 지역주민과 협동조합 방식으로 참여해 세계 최대 해상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발전량 규모는 8.2GW에 이른다.
전남도는 1GW는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기 때문에 원전 8개를 대체할 수 있고 서울과 인천시민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협동조합 설립과 지역발전기금 조성, 지역주민 우선 채용 등 지역주민 참여형 사업으로 진행해 지역민의 수용성도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전남도는 1단계 계획으로 2025년까지 21조 원을 투자해 60MW급 압해풍력발전소 착공을 시작으로 4.1GW 발전단지 조성, 2단계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12조7천억 원을 들여 2.1GW 발전단지 조성, 3단계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 12조3천억 원을 투입해 2GW 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역균형 뉴딜투어 행사 인사말에서 “정부는 2030년까지 5대 해상풍력 강국 도약을 목표로 사업기간 단축과 특별법 제정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친환경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는 지역균형 뉴딜의 선도 프로젝트로 대한민국 경제 도약의 힘찬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해상 풍력발전에 초기 개발비용이 많이 들어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한국전력의 제한적 참여를 뼈대로 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역균형 뉴딜투어 1호 행사 개최로 전남형 뉴딜 추진전략을 본격화해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해상 풍력발전사업의 실행동력 확보를 위한 도민 체감사업, 초광역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세미나와 포럼 개최, 아이디어 공모와 함께 6월까지 ‘주민 소통과 참여, 이익공유 모델’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