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험업권 헬스케어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민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4일 금융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헬스케어업계, 보험업계 등과 함께 '보험업권 헬스케어 활성화 태스크포스'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태스크포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문단과 워킹그룹으로 구분하여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더해 보험회사의 헬스케어 자회사 소유, 행정정보 공동이용망 활용 등 기존 발표과제도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2020년 12월17일 발표한 보험업권 헬스케어 활성화 추진전략을 포함한 보험업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해외 주요국의 헬스케어산업 동향과 국내 보험사의 헬스케어 진출 방향 등이 논의됐다.
발표자로 나선 홍석철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 교수는 보험업계가 4가지 내·외부적 환경변화로 새로운 위기와 기회에 동시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했다.
홍 교수가 꼽은 환경변화는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ICT(정보통신)기술진보와 데이터 중요성 증대 △의료비의 지속적 증가와 국가재정 부담 △제도적 변화(데이터3법,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등이다.
홍 교수는 이런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인화 △고객관리 △융합이라는 3가지 방향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헬스케어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건강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보험업계가 고객 네트워크, 자본력을 활용해 헬스케어 생태계 내 중개자로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국내 헬스케어산업의 내재적 특성과 보험사 사이 서비스의 차별성 부재 등으로 해외와 비교해 보험업권의 헬스케어 진출이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데이터 중심의 역량을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 차별화된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헬스케어 플랫폼 생태계 구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험업계에 조언했다.
홍 교수는 "보험사의 헬스케어 참여는 단순히 보험사의 손해율 관리, 신사업 진출의 의미에서 그치지 않는다"며 "국민의료비 지출 효율화와 국가적 성장동력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삼정KPMG 측 발표자로 나선 김세호 상무는 헬스케어산업이 △고객 요구 변화 △산업영역 확대, △규제혁신의 3가지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환경변화에 따라 스타트업, 금융사, 통신사, 빅테크 등이 적극적으로 헬스케어산업에 진출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김 상무는 국내 보험사의 헬스케어 진출과 관련해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건강자산과 금융자산의 결합과 분석을 강조했다.
그는 주3회 배달음식(카드 데이터)을 먹는 과체중(건강검진 데이터) 고객에게 다이어트·식단 관련 맞춤형 헬스케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예시로 들었다.
김 상무는 "헬스케어산업은 대표적 융합산업인 만큼 다양한 서비스들이 끊김 없이 연결·제공될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 개선, 제도적 지원 등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