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권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어떤 영향을 받을까?
시중은행들은 앞으로 대출금리 인상 기조를 타고 이자이익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부실화돼 은행의 재무건전성도 흔들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
|
|
▲ 조용병 신한은행장. |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대부분 3%대로 올렸다.
신한은행은 현재 5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품의 대출금리를 연 3.11~4.47%로 책정하고 있다. 이 금리는 1개월 전보다 0.22%포인트 오른 것이다.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품의 대출금리를 최소 3%대로 인상했다.
KB국민은행은 비슷한 상품의 최저금리를 2.96%로 책정했지만 이 금리도 1개월 전보다 0.09% 오른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인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전부터 상승세를 보이면서 은행들도 금리를 올렸다”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시기를 전후해 대출금리 인상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시중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은 평균 0.06%포인트 오른다. 순이자마진은 예금과 대출 이자이익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시중은행들은 6월 기준으로 예금상품의 90% 이상을 고정금리로 책정했다. 반면 대출상품의 약 65%를 변동금리로 취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격차도 커져 순이자마진이 증가한다.
한국은행은 내년 하반기에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이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1999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내린 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데 평균 9.7개월이 걸렸다.
시중은행들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아 재무건전성 악화를 겪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와 기업부채의 부실화 가능성도 함께 커진다. 은행도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할 상황을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쌓으면서 손실을 입을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가계대출은 1200조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계대출 가운데 70% 이상을 변동금리 대출이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올리면 가계의 이자 부담도 연간 7조7천억 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되면 가계수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하는 ‘한계가구’의 부채가 한꺼번에 부실화될 위험성이 생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약 152만 가구가 한계가구에 속한다. 한계가구의 금융부채는 전체의 32.7%인 400조 원에 이른다.
기업부채는 현재 약 1500조 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최근 3년 동안 영업이익으로 부채의 이자도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도 전체 비금융회사의 15.2%를 차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