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금융시장 안팎의 위험요인 및 금융현안을 점검했다.
금융위원회는 28일 영상회의 방식으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 이외에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은행연합회 관계자들과 KB증권, 메리츠증권, 하나금융투자 등의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금융위는 미국 대선 등 대외 리스크 요인, 저신용등급 회사채·기업어음(CP) 발행동향, 리보(LIBOR·런던 우량은행 사이 단기 자금거래 금리) 금리 산출중단 등의 주제를 놓고 시장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다.
미국 대통령선거는 선거결과 불투명성 자체가 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선거결과에 따라 경기부양책 규모, 조세정책 및 회복속도 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정부의 적극적 시장 안정화 노력 등으로 자금조달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회사채와 기업어음 가운데 비우량등급과 우량등급 사이 온도차이가 있으며 회사채와 단기자금시장(기업어음, 단기사채) 사이 회복속도에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우량등급 회사채의 가산금리가 6월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우량물보다 하락속도가 더디며 발행금액이 지난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취약업종에서는 10월 수요예측 미달이 3건 발생하기도 했다.
2022년부터 리보금리 산출이 중단된다. 이에 금융업권은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계획을 세우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각 금융회사가 신규계약 및 기존계약에 대체조항을 반영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보금리 산출이 중단되면 리스크 관리, 대고객 관계, IT·회계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금융기관이 전사적 관심을 쏟으며 대응하기로 했다.
이 외에 비주택담보대출 동향, 제2금융권 기업대출 증가 등 금융현안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은행권 비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둔화추세를 보이며 고소득·고신용 차주의 비중이 높아 아직까지 특이동향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주택담보대출보다 평균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이 높고 최근 3년 동안 상가 공실이 늘고 있어 불안징후가 보이면 관계기관과 필요한 조치를 협의하기로 했다.
8월 말 제2금융권의 기업대출은 178조4천억 원으로 2019년 말보다 16.8% 증가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인 높은 상호금융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코로나19로 소상공인의 영업 어려움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당국은 긴급 경영자금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금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소상공인의 어려움 해소를 돕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