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종합감사에서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과 관련해 김복태 포스코 물류통합 테스크포스(TF)팀 전무와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을 각각 증인과 참고인으로 불렀다.
이날 김 전무는 국감에 나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과 관련해 “포스코그룹 안에서 물류를 담당하는 조직이 여러 곳이라서 이를 효율화하고 통합하는 차원에서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이라며 "해운업과 물류사업에 진출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최정우 회장도 앞서 5월 기자들과 만나 “해운업에 진출할 계획이 없다”며 “해운업계가 오해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국내 해운·운송업계는 포스코가 물류자회사를 설립해 결국 해운업에 진출할 것이라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이날 국감 참고인으로 나와 “포스코그룹은 국내 해운·운송시장에서는 시장지배자"라며 "앞으로 포스코 자회사가 출범해 그룹사의 모든 물량을 맡아 중소 해운·운송기업에 저가 운임을 강요하면 중소 해운·운송기업은 고통을 받을 것이 뻔하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포스코가 해운업에 진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포스코가 2000년대와 2010년대 각각 대우로지스틱스와 대한통운 인수를 통해 물류업 진출을 시도한 만큼 이번 물류자회사 추진은 최종적으로 해운업에 진출할 발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부회장은 포스코가 해운업에 진출하지 않더라도 물류회사가 비용절감 과정에서 중소협력회사들에 피해를 주고 물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포스코는 2019년 철강 물동량만 1만6천 톤으로 물류비만 3조 원대로 추정됐다. 이 물량을 자회사로 돌린다면 국내 중소해운회사나 선주, 물류회사들은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당초 5월 포스코GSP(가칭) 설립 추진을 두고 논란이 커졌을 때 대화를 통해 해운·운송업계를 설득하겠다고 했지만 갈등은 더 커지고 있다.
이날 포스코를 증인으로 부른 정치권도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을 의심섞인 눈초리로 바라봤다.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은 포스코 김복태 전무에게 "해운업 분야에 대기업이 진출해 시장 교란행위와 국내 물류 경쟁력 약화 등 여러가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며 "더욱이 코로나19로 국내 해운업계가 근근히 버텨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코가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통행세 등의 논란을 일으키면서 물류회사를 만드는 이유가 뭐냐"며 질책했다.
포스코는 연말에 물류자회사 출범을 앞두고 있는데 해운업계와 갈등이 정치권으로 번지면서 부담을 안을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으로서는 해운·운송업계와 갈등을 봉합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기업시민 경영이념에 작은 흠집이 날 수 있다.
최 회장은 2018년 7월 취임하자마자 ‘With 포스코’를 새 비전으로 제시하며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을 경영이념으로 내세웠다.
지역사회와 상생성장을 추구하는 ‘산학연협력실’과 ‘창업인큐베이팅 스쿨’, 고객의 제안을 최고경영층에 직접 전달하는 ‘마케팅 혁신위원회’ 등을 신설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해왔다.
더욱이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결국 2자물류인 셈이어서 문재인 정부의 물류정책인 3자물류 육성정책과도 거리가 있다는 점에서 최 회장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2자물류는 분사를 통해 물류자회사를 통해 물류서비스를 받는 것을 말한다. 포스코가 물류자회사를 설립해 그룹내 물류서비스를 물류자회사에 맡기면 2자물류에 해당된다.
이와 달리 3자물류는 사내의 물류업무 가운데 일부나 혹은 전체 물량을 물류전문 회사에 1년 계약을 맺거나 제휴를 맺어 외주를 주는 것으로 문재인 정부는 3자물류를 권장하고 있다.
이날 국감에서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도 "포스코 물류자회사는 원칙적으로 (2자물류에 해당돼) 정부 물류정책에 어긋난다"고 대답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