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수준에 따라 대출을 받는 금융기업도 양극화하고 있다.
고소득층은 비교적 금리가 낮은 은행 대출을 많이 받는 반면 저소득층은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
|
|
▲ 가계부채가 1100조 원을 넘은 것으로 파악된 지난달 8월25일 서울 농협중앙본부점에서 한 소비자가 개인대출상담을 받고 있다. <뉴시스> |
6일 한국은행이 최재성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차주 특성별 은행 및 비은행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연소득 6천만 원을 넘긴 고소득층은 지난 6월 기준으로 은행권 가계대출을 106조 원 받았다. 지난해 12월 말 101조9천억 원보다 4조1천억 원 증가했다.
연소득 3천만 원 이하인 저소득층은 지난 6월 기준으로 은행권 가계대출을 144조1천억 원 받았다. 지난해 12월 말 144조2천억 원보다 1천억 원 줄어들었다.
저소득층은 은행 대신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 등 제2금융권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저소득층은지난 6월 기준으로 비은행 금융기업에서 가계대출 24조7천억 원을 받았다. 지난해 12월 23조7천억 원에서 1조 원이나 늘어난 것이다.
은행은 최근 가계대출잔액이 대폭 늘어났지만 소득과 신용등급이 높은 가계에 중점적으로 대출을 내준 것으로 파악된다. 저소득층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자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금융권 대출을 찾은 셈이다.
정부는 가계부채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금리가 낮은 안심전환대출을 올해 4월 출시했다. 그러나 이 상품도 대부분 신용등급이 높은 계층에게 혜택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4월~6월 동안 주택금융공사의 안심전환대출 채권으로 넘어갔다. 이 기간 신용등급 1~3등급인 소비자의 은행 가계대출잔액은 10조 원 줄었다.
그러나 신용등급 4~10등급은 이 기간 은행 가계대출잔액이 1조2천억 원 증가했다. 안심전환대출이 적용되지 않은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잔액도 5조2천억 원 늘었다.
최 의원은 “가계부채는 양적 증가뿐 아니라 질적 악화도 함께 문제가 되고 있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가계부채 총량관리라는 적극적 정책수단과 함께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위해 맞춤형 가계부채 해소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