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전 시장이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김 의원의 4선 도전길이 그렇게 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치권은 바라봤다.
김 의원이 20대 총선에서 50% 가까운 득표율로 당선된 데다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지내는 등 민주당의 다음 대선주자로 지역민들의 기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래통합당의 부산 진구갑 공천을 놓고 내홍을 겪으며 공천 탈락자의 무소속 출마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김 의원에 유리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서 전 시장의 갑작스런 등장으로 부산 진구갑은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격전지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부산 진구갑은 제19대와 제20대 총선에서도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한번씩 당선되며 판세 예측이 쉽지 않은 지역으로 꼽힌다.
김 의원은 제16대와 제17대 총선에서 서울 광진갑에 출마해 당선된 뒤 제19대 총선부터 부산 진구갑에 도전했다.
제19대 총선에서는 35.8%를 득표해 약 4%포인트 득표율 차이로 나성린 새누리당 후보에게 졌고 제20대 때는 49.6%를 득표해 3.1%포인트 차이로 나성린 새누리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김 의원은 중앙당 공동선대위원장 겸 부산선대위장을 맡아 이번 총선에서 부산지역을 이끌고 있어 부산 진구갑 수성이 더 중요하다.
김 의원은 2일 BBS불교방송 '라디오 830'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은 부산 지역구 18석 가운데 6석을 차지하고 있어 21대 총선 목표는 의석 수를 늘리는 것"이라며 "이제는 서울만 바라보게 하는 그런 정치로는 안 된다고 생각해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비전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통합당은 5일 홍준표 미래통합당 의원 등 다수의 중진 의원들을 공천배제(컷오프)한 상황에서 서 전 시장을 김 의원 대항마로 내세우며 부산지역 구심점으로 내세웠다.
서 전 시장은 16대부터 19대까지 부산 해운대기장갑에서 연이어 당선된 4선의원으로 2014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으로도 당선되는 등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정치인이다.
김형오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장은 5일 국회에서 '4.15 총선 후보자 공천 결과를 발표하며 "서 전 시장은 (부산 진구갑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 영입했다"며 "여러가지 면에서 가장 경쟁력 있고 (부산진구갑은) 반드시 탈환해야 하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서 전 시장은 6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급하게 이야기를 전해들었다"며 "부산진갑이 중요한 지역인 만큼 지역현안 챙기는 등 김영천 후보와 총선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은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에 부정평가를 내리는 등 정권심판론이 강세인 지역으로 나타난다.
여론 조사기관 리얼미터가 5일 발표한 '3월 1주차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주중 집계)'에서 부산·울산·경남 지역 응답자의 59.5%가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전국 평균 부정평가는 48.7%로 집계됐다.
문재인 정부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해 '친문(친문재인)' 인사로 평가되는 김 의원과 원조 '친박(친 박근혜)' 인사로 꼽히는 서 의원의 맞대결로 선거판이 친문과 친박 사이 세 대결로 번지면 보수세력의 결집에 힘이 실릴 수도 있다.
다만 서 전 시장 전략공천이 기존 예비후보들에게 낙하산으로 비춰질 수 있어 보수 분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미래통합당 부산진갑 예비후보였던 정근 그린닥터스 이사장은 6일 입장문을 통해 “공천관리위는 서병수 전 부산시장을 포함해 정근, 이수원, 원영섭 예비후보 사이 여론조사를 즉각 실시하라”며 “만일 여론조사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무소속 출마를 통해 직접 지역구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을 것임을 밝혀둔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제19대 총선에서 나성린 새누리당 의원이 부산진구갑에 전략공천되자 무소속으로 출마해 24.71% 득표율을 얻기도 했다.
리얼미터 '3월 1주차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주중 집계)' 여론조사는 tbs 의뢰로 2일에서 4일까지 사흘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만9935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16명의 응답을 받아 이뤄졌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s://www.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