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제주도 감귤산업의 활로를 엄격한 품질관리에서 찾고 있다.

품질관리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감귤 가격이 정상화하면 감귤 수매에 예산을 대거 투입하는 악순환에서 빠져나올 수 있고 키위처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주 감귤도 키위처럼, 원희룡 품질관리로 감귤산업 활로 찾아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26일 제주도 감귤산업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제주도는 최근 악순환에 빠져있는 제주도 감귤산업의 체질 변화를 이뤄내기 위해 법, 예산, 조직 등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원희룡 지사는 “감귤산업은 양이 아니라 맛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예산부서와 농협, 관련 단체들과 2020년 감귤예산을 전면 재검토하고 맛에 중점을 둔 맞춤형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10월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해 2020년부터 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등의 상품기준을 명문화하고 비상품 유통을 금지하기로 했다.

고부가 상품 감귤류에 당도와 산도, 중량에 따라 엄격한 상품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상품단계에 이르지 못한 '비상품 감귤'을 불법유통하는 농가와 유통기업에 부과하는 과태료도 현행 500만 원에서 1천만 원으로 오른다.

제주도는 감귤 유통과정에 엄격한 품질관리 규정을 도입하면 감귤 가격을 정상화하고 소비자의 신뢰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위원회 관계자는 “일부 감귤 유통기업과 농가들이 화학물질로 착색한 비상품 감귤 등을 유통해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다”며 “과태료 부과 상한액을 1천만 원으로 강화해 규제 준수를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그동안 감귤산업 진흥을 위한 예산을 감귤 수매에 쏟아 넣어야만 했다. 종자 확보, 신품종 개발과 같은 시급한 과제는 건드리지도 못하고 있었다.

제주도 농축산식품국 관계자는 “감귤산업 관련 예산이 있지만 올해와 같이 감귤 수매에 대비해 묶여 있는 상황”이라며 “제주 감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있다고 해도 현재로서는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철저한 품질관리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감귤 가격이 정상화하면 감귤 수매에 예산을 대거 투입하는 악순환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감귤산업이 정상화하면 뉴질랜드의 키위처럼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뉴질랜드는 1970년 키위값이 떨어지는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키위 농업인들이 모여 협동조합을 구성하고 신품종 개발비를 계속 투입해 현재 소비자들이 알고 있는 키위 품종을 개발할 수 있었다.

여기에 뉴질랜드 농가들은 단일 브랜드를 만들고 자체적으로 생산량도 줄였다. 뉴질랜드 키위생산 과정은 엄격한 품질관리로도 유명하다.

제주도 감귤진흥과 관계자는 “고령의 감귤나무를 어린나무로 교체하고 향후 자동화를 위해 나무 간격을 조절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며 “제주대학교 등 제주도 소재 연구기관들이 감귤연구와 관련해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감귤산업은 관광산업과 함께 제주도의 주수입원이다. 제주도가 감귤로 거둬들인 수입은 2017년 기준 9458억 원으로 나타났다. 

감귤은 제주도 농업수입의 55.8%를 차지하고 있으며 감귤농지는 제주도 농지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노지감귤은 태풍과 잦은 비로 평년에 비해 당도가 낮아 5㎏ 기준 6천 원 이하로 가격이 형성됐다.

제주도는 감귤농가의 소득분기점을 넘기는 가격수준을 5kg 당 3800원으로 보고 있다. 아직은 소득분기점 가격까지 내려가지는 않았지만 더 이상의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기준이하인 감귤을 수매해 폐기하거나 감귤주스 등 가공상품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