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전라북도 전주시장이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을 놓고 시민 의견을 모으기 시작했다.
대한방직 부지 개발을 둘러싼 여러 논란을 해소하고 전주지역 최대의 알짜배기 토지 개발을 위한 가장 나은 방안을 찾고 있다.
2일 전주시에 따르면 대한방직 부지 개발을 놓고 이르면 내년 1월 공론화준비위원회를 통해 공론화위원 구성을 거친 뒤 상반기에 공론화위원회가 본격적으로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대한방직 부지 개발은 2조5천억 원을 들여 높이 430m에 이르는 143층의 익스트림 타워를 비롯해 3천 세대 규모의 60층 아파트, 호텔 등을 건설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승수 시장은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각계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최적의 개발방안을 담아내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공론화위원회는 대한방직 부지 개발을 놓고 원점에서 다양한 선택들을 폭넓게 검토한 뒤 합의에 이른 권고안을 시장에게 제출한다.
김 시장은 공론화위원회에서 합의한 방안을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하면 주민투표 등 보완수단을 거쳐 정책방향을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찬반논란이 치열한 만큼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기 전에 ‘준비위원회’라는 사전단계를 만들어 위원회 구성과 관련한 시비를 미리 막고 시민 사전 여론조사도 2차례 진행하기로 했다.
사유지 개발을 놓고 공론화위원회를 여는 것도 이례적이다. 대전광역시의 민간공원 특례사업, 광주광역시 도시철도2호선 등 다른 지자체에서는 주로 공공사업을 놓고 숙의과정을 거치고 있다.
김 시장이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애초 ‘개발 불가’의 태도를 보이다 개발 방안을 검토하는 방향으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 시장은 옛 대한방직 부지를 공업·녹지용지에서 상업·주거용지로 용도를 변경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이 때문에 대한방직이 2015년 부지 매각 공시를 했을 때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한양컨소시엄과 2차 협상자였던 부영그룹은 사업에서 손을 뗐다.
김 시장이 태도를 바꾼 것은 전주 서부신도시 한 가운데 방치된 대규모의 노른자위 땅을 더 이상 그냥 둘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주시 관계자는 “옛 대한방직 부지를 언제까지 그냥 둘 수는 없는 만큼 합리적 대안을 찾을 것”이라며 “공론론화위원회가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특혜 논란을 차단하는 등 공정한 논의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결정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부지는 한양컨소시엄과 부영그룹이 사업을 철회한 뒤 사업논의가 이뤄지지 못했으나 2017년 '자광'이 약 2천억 원을 들여 부지를 매입하고 2조5천억 원 규모의 대형 개발계획을 내놓으며 다시 논의대상으로 떠올랐다.
자광의 대한방직 개발을 두고 찬반여론이 팽팽하다.
자광의 모기업인 자광건설은 2012년 용인에 설립된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체다. 대한방직 부지 매입을 위해 2018년 3월 개발법인 자광을 설립하고 본사를 전주로 옮겼다.
일자리 창출과 자광이 납부할 지방세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찬성 측 논리와 토지용도 변경에 따른 특혜 논란 등을 제기하는 반대 측 주장이 3년 동안 맞서고 있다.
2천억 원에 매입한 땅이 용도 변경되면 5천억 원 이상이 되기 때문에 사업승인 뒤 자광이 땅을 팔아 시세차익을 노릴 것이란 지적과 함께 특정 업체를 위해 용도변경을 해주는 것은 특혜라는 주장이 있다.
자광 관계자는 “건물 한 채 씩 짓는 것이 아니라 지구단위로 개발하기 때문에 수익이 예상되는데 사업을 진행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기부채납 비율도 29~48%인 다른 업체 사례와 달리 80% 가까이 이르기에 특혜라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자광 뒤에 롯데가 있는 것 아니냐는 배후설도 나오고 있다.
자광이 대한방직 부지를 매입할 때 롯데건설이 자광의 매입대금 연대보증자로 나선 점과 자광이 그동안 시행한 사업에 롯데건설이 시공사로 나선 일이 많은 점이 근거로 꼽힌다.
자광 관계자는 “롯데와 많은 일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롯데는 사업파트너일 뿐이다”며 “사업 구상부터 부지 확보, 분양까지 모든 일을 자광이 주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