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포조선이 액체화물운반선(탱커) 3척을 수주했다고 해외언론이 보도했다.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는 9월30일 “현대미포조선이 그리스 선박회사 센트럴그룹으로부터 MR탱커(순수화물적재량 5만 DWT 안팎의 액체화물운반선) 3척을 수주했다”고 보도했다.
현대미포조선이 수주한 선박은 모두 5만 DWT(순수화물 적재톤수)급 액체화물운반선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스크러버(황산화물 세정장치)를 포함해 높은 사양의 설비들이 탑재된다.
선박 건조가격은 3척 합쳐 1억2천만 달러(1440억 원가량)이며 인도기한은 2021년 1분기다.
센트럴그룹을 이끄는 선주 에반겔로스 피스티올리스 CEO는 액체화물운반선을 발주할 때 현대중공업그룹을 선호하는 선주로 알려져 있다.
피스티올리스 CEO는 지난 5년 동안 현대중공업그룹에 액체화물운반선을 모두 23척 발주했는데 계약가격의 합계가 9억 달러(1조784억 원가량)에 이른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는 9월30일 “현대미포조선이 그리스 선박회사 센트럴그룹으로부터 MR탱커(순수화물적재량 5만 DWT 안팎의 액체화물운반선) 3척을 수주했다”고 보도했다.

▲ 현대미포조선이 건조한 MR탱커.
현대미포조선이 수주한 선박은 모두 5만 DWT(순수화물 적재톤수)급 액체화물운반선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스크러버(황산화물 세정장치)를 포함해 높은 사양의 설비들이 탑재된다.
선박 건조가격은 3척 합쳐 1억2천만 달러(1440억 원가량)이며 인도기한은 2021년 1분기다.
센트럴그룹을 이끄는 선주 에반겔로스 피스티올리스 CEO는 액체화물운반선을 발주할 때 현대중공업그룹을 선호하는 선주로 알려져 있다.
피스티올리스 CEO는 지난 5년 동안 현대중공업그룹에 액체화물운반선을 모두 23척 발주했는데 계약가격의 합계가 9억 달러(1조784억 원가량)에 이른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