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이 신협 본연의 지역밀착사업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하게 됐다.
11일 신협중앙회에 따르면 16일부터 목표기금제 도입에 따라 조합들의 출연금 부담이 줄어들면서 지역밀착사업과 공익사업 등을 넓히는 데 속도를 낼 수 있다.
신협은 조합 파산 등에 따라 예금을 돌려줄 수 없을 때를 대비해 조합들의 출연금을 모아 예금자보호기금을 쌓고 있다.
목표기금제는 예금자보호기금에 적립목표를 설정한 뒤 기금적립액이 목표에 도달하면 조합이 내야하는 출연금을 줄여주거나 면제해주는 제도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목표기금제가 도입되면 신협이 추진하고 있는 지역밀착사업 등을 확대하는데 힘을 실을 수 있다”며 “아직 목표 기금적립률 등이 결정되지 않은 만큼 출연금 감소 등에 따른 실질적 효과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신협은 예금자보호기금에 목표기금제를 적용받지 못했다. 조합들은 이익의 70~80%를 예금자보호기금으로 계속 쌓아야 했다. 농협에 2014년, 새마을금고에 2016년 목표기금제가 도입됐다.
신협의 예금자보호기금 적립액은 지난해 말 기준 1조3049억 원에 이른다.
기금 적립률은 1.6%로 농협(1.49%), 수협(1.22%), 새마을금고(0.96%)보다 높다. 기금 적립률은 부보예금(예금보험이 적용되는 예금) 대비 예금자보호기금의 비율을 뜻한다. 농협은 목표 기금적립률을 1.3~1.8%로 정하고 있다.
신협중앙회가 지역밀착사업이나 공익사업을 확대하는 데 많은 출연금은 부담으로 작용해왔다. 신협중앙회가 목표기금제 도입을 오랫동안 바랐던 것도 이 때문이다.
김 회장은 올해 초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기금 적립 부담이 줄면 그만큼 상호금융기관 본연의 목적인 지역밀착사업을 강화하고 공익사업도 늘릴 수 있다”고 목표기금제 도입에 기대감을 보였다.
신협중앙회는 목표기금제로 한해 1050억 원가량 출연금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조합들은 출연금으로 1500억 원가량을 냈다.
신협중앙회는 2007년 적자누적으로 금융당국과 맺은 경영 정상화 이행약정(MOU)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 공적자금 2700억 원 가운데 남은 2400억 원을 2024년까지 반환해야 한다.
김 회장은 넉넉하지 않은 자금상황에서도 신협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신협중앙회는 8일 전라북도에 사는 금융취약계층의 빚을 줄여주기 위해 소멸시효 완성채권 등을 포함해 부실채권 179억 원을 전액 무상으로 소각했다.
1일에는 경기 침체로 긴급 생계자금이 필요한 군산지역 자영업자, 소상공인 및 실직 가장 등을 지원하기 위해 1천억 원의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 명당 최고 1천만 원까지 무담보, 무이자로 지원하기로 했다.
신협중앙회는 올해 초 지역본부 10곳에 소상공인지원센터를 설립해 지역밀착사업 등 포용금융을 확대하기 위한 거점으로 삼고 있다.
앞으로 조합 886곳에서 1곳당 10명의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계획도 세웠다.
김 회장은 “약자가 더욱 약한 자를 어부바하는 것이 우리 신협의 소명이고 역할”이라며 “어려울 때일수록 우리 신협이 지역을 살리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