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이 국내 최대 게임 박람회 ‘지스타’의 영구 유치를 추진해 지역의 게임산업 성장세를 이어간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중독(게임이용장애)을 질병으로 분류한 영향으로 지스타 등 게임산업이 위축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데도 힘쓴다.
 
오거돈, 게임박람회 '지스타'의 부산 영구유치 위한 청사진 마련하다

오거돈 부산시장.


14일 부산시청에 따르면 오거돈 시장은 11월 개최를 앞둔 지스타를 영구적으로 부산시에 유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스타는 국내외 게임회사들이 참가해 새로운 게임들을 홍보하는 대규모 박람회를 말한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경기도에서 열리다가 2009년부터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 자리를 잡으면서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현재는 부산시의 대표적 마이스(MICE, 회의·포상여행·컨벤션·전시/이벤트) 종목으로 손꼽힌다.

2018년 열린 지스타는 게임회사 198곳이 등록하고 관람객 23만5천명이 방문해 역대 가장 많은 사람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스타가 성장하면서 부산시 게임산업 규모도 함께 커진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 게임업계는 2009년 회사 24곳, 고용인원 242명 규모에서 2018년 회사 110곳, 고용인원 1048명 수준으로 확대됐다.

오 시장은 부산시 게임산업의 성장세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지스타의 개최지를 부산시로 못박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현재 지스타 개최지는 4년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공모를 통해 선정되는데 2년마다 중간평가를 통과해야 다음 2년의 개최를 보장받을 수 있다. 부산시는 2020년까지 지스타 개최가 확정됐다.

오 시장은 2020년 이후에도 부산시에 지스타를 지속해서 유치할 수 있도록 게임산업 생태계 구축계획을 세웠다.

2022년까지 부산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 1지구에 게임융복합타운을 건설해 이스포츠 전용경기장, 게임전시체험관 등을 설치한다. 해운대구 반여동 센텀시티 2지구에는 게임 관련 기업들을 집적화할 게임특화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오 시장이 부산시에 게임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최근 게임산업 육성에 나선 경기도 등 다른 지자체들을 견제하는 의미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도는 2019년부터 게임 중소기업 지원, 이스포츠 전용경기장 건립, 국제 아마추어 게임대회 ‘월드 이스포츠 챌린지 2019’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 지스타가 처음으로 열렸던 고양시, 부산시와 2015~2016년 지스타 개최 공모에서 경쟁한 성남시 등을 중심으로 부산시와 지스타 개최를 다툴 가능성이 떠오른다.

그밖에 대전시도 2020년까지 이스포츠 전용경기장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으며 게임산업 육성에 뛰어들어 부산시와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오 시장은 최근 세계보건기구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한 것이 부산시 게임산업 육성방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끔 대책을 마련하는 데도 무게를 실었다.

지스타를 주최하는 한국게임산업협회가 19일부터 2019년 지스타에 참가할 게임회사들을 모집하기 시작하는데 게임산업을 놓고 부정적 이미지가 퍼지면 행사에 좋지않은 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부작용 최소화 대책을 내놨다.

부산시는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게임 과몰입 치료상담센터’ 운영 등 게임중독을 줄이기 위한 정책 추진계획을 밝혔다. 한편 게임중독 질병분류와 관계없이 게임산업 투자를 지속해서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오거돈, 게임박람회 '지스타'의 부산 영구유치 위한 청사진 마련하다

▲ 시민들이 2018년 11월15일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게임 박람회 '지스타 2018'를 관람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는 5월25일 게임중독이 포함된 제11차 국제질병분류(ICD)안을 내놨다. 제11차 국제질병분류는 2022년 1월 발효되고 이르면 2026년 한국표준질병분류(KCD)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임중독이 질병으로 분류되면 관련 규제가 늘어나 게임산업 성장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산시청 관계자는 “모든 취미활동, 레저스포츠가 과몰입과 같은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유독 게임에만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부산시의 성장동력인 게임산업이 힘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