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인 D램의 수요 증가로 반도체업황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선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회복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중국 반도체기업의 시장 진출로 낸드플래시업황은 회복세에 오르기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 부회장(왼쪽)과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
김영우 SK증권 연구원은 28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으로 중국 반도체기업이 D램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낮아진 것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중장기적 호재"라고 분석했다.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한 무역제재를 강화하면서 중국 반도체기업과 화웨이가 미국 기업의 부품과 장비,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를 내걸었다.
중국업체는 D램시장 진출을 준비했으나 미국의 압박으로 반도체시장 진출을 크게 늦출 수밖에 없게 됐다.
김 연구원은 "화웨이와 미국 마이크론의 거래 중단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반도체 주문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며 "내년부터 본격적 수요 개선이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특히 서버용 D램은 중국과 한국 기업 사이 기술격차가 가장 큰 분야로 꼽히고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과점체제가 장기간 유지될 공산이 크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시장에서는 중국의 시장 진출 가능성을 우려해야만 할 수도 있다.
이르면 올해 낸드플래시 양산을 준비중인 중국 YMTC가 낸드플래시 반도체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한 만큼 미국 정부의 제재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낸드플래시업황이 개선되면 YMTC가 생산투자를 확대하며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아직은 보수적으로 시장을 바라봐야 할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YMTC가 낸드플래시업황 개선시기를 노려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려 하는 만큼 결국 낸드플래시업황이 회복세를 지속할 가능성은 낮다는 의미다.
반도체시장 진출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지원이 당분간 YMTC에 집중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낸드플래시시장은 진출한 반도체기업이 많고 경쟁적 생산설비 증설도 지속되고 있어 중장기적 변수가 크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