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한솔 기자 limhs@businesspost.co.kr2019-05-26 08:3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부산시, 인천시, 울산시 등 주요 항구도시들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선진국들과 경쟁하기 위해 스마트항만에 뛰어들고 있다.
스마트항만은 기존 항만산업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자동화, 물류 최적화,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및 배후도시와 연계성 강화 등을 창출하는 개념이다.
▲ 부산항 전경. <연합뉴스>
26일 해운항만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최근 부산시와 인천시, 울산시 등지의 주요 항만들이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스마트항만과 관련한 투자를 전면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무역업의 기본 단위인 컨테이너의 운송효율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부산항이 2018년 컨테이너 2166만TEU(컨테이너 단위)를 처리해 세계 6위에 오른 만큼 막대한 물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다.
부산항만공사는 1월부터 부산항의 ‘환적화물 부두 사이 물류운송(ITT)’시스템에 시범적으로 블록체인을 도입해 화물 운송에 드는 시간을 줄이고 있다. 환적화물은 항만을 거쳐 선박에서 선박으로 옮겨지는 화물이다.
ITT시스템에 블록체인이 적용되면서 부산항만공사와 선사, 운송사는 환적화물을 옮기는 과정에 필요한 가용 화물차량, 창고 여유공간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정보공유가 지연돼 화물차량이 오랫동안 대기하거나 운송량에 맞는 배차계획을 세우기 어려웠다.
부산항만공사는 2020년 하반기까지 부두간 물류운송 물량의 50%인 100만TEU를 블록체인으로 처리한다는 목표로 ITT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해외 항만과 블록체인 기반 ITT시스템을 연계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구상도 세웠다.
인천항만공사는 2016년부터 운영해온 ‘컨테이너 터미널 싱글 윈도우’서비스를 확대한다. 싱글 윈도우서비스는 인천항에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회사들의 물류정보를 통합해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천항만공사는 싱글 윈도우서비스를 통해 터미널 상황정보, 컨테이너 정보, 인천항 교통정보를 제공해 화물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높였다. 여기에 교통 CC(폐쇄회로)TV 확인 기능을 더해 인천항 주위의 교통체증을 개선하는 효과도 얻었다.
화물차량 기사들이 실시간으로 교통 CCTV 화면을 전달받으면서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고 도로상황에 알맞은 운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됐다.
인천항만공사는 앞으로 싱글 윈도우서비스를 통해 물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물류 흐름 추적, 물동량 예측 등 다른 서비스도 추가로 개발하기로 했다.
울산항만공사는 울산항의 주요 물류인 원유, 석유제품, 화공제품 등 액체 물류를 기반으로 스마트항만산업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사업모델을 수립하는 데 집중한다.
4월 울산과학기술원과 함께 문을 연 ‘스마트 항만물류 지원센터’가 그 중심에 선다.
스마트 항만물류 지원센터는 스마트항만산업과 관련한 인력을 양성하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신기술 연구개발 등을 주도한다. 해마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 10여 곳을 선정하고 기업마다 10억 원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처럼 국내 주요 항만들이 스마트항만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지만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1993년 세계 최초로 무인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을 도입한 네덜란드는 로테르담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항만을 개발하고 있다. 항만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항만 운영, 화물 처리 등 모든 시스템을 완전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싱가포르도 2040년 완공을 목표로 투아스 지역에 완전자동화 항만을 건설하고 있다. 투아스 항만의 시스템이 완비되면 투아스 인근 해상에 머무르는 배들은 굳이 항만에 접안하지 않아도 각종 수속과 급유(벙커링)를 할 수 있게 된다. 드론을 이용한 배달 및 선체 점검시스템도 구축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현재까지 국내 스마트항만 개발정책은 화물정보 공유 등에 한정돼 있다”며 “스마트항만은 자동화는 물론 항만과 내륙 물류망, 친환경 에너지, 차량·사물통신 등 사회적, 환경적 관점을 모두 포함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