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대표는 4차산업혁명 신기술과 관련해 한국이 중국에 현저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소득주도성장에만 매몰되지 말고 새로운 투자와 기술 등을 위한 철학을 바탕으로 정치를 바꿔야 한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망중립성과 제로레이팅의 찬반 논란이 스타트업이나 중소 콘텐츠사의 성장을 방해하고 사회적 갈등의 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국회는 이런 논란의 합의점을 찾으면서 스타트업과 우리 경제에 도움을 주는 입법과 예산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을 적용한 서비스라 해도 망중립성 원칙을 전면적으로 완화하기는 힘들다는 의견이 주로 나왔다. 망중립성 적용의 예외로 꼽히는 관리형 서비스를 더욱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논의됐다.
김인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망중립성은 평등의 원칙과 표현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를 지닌 원칙인 만큼 누구도 폐기하거나 완화할 수 없다”며 “다만 안전 보장, 질서 유지, 공공복리 등을 위해 법률로서 일부 제한하는 정도는 가능하다”고 봤다.
콘텐츠 제공사(CP) 관계자들이 참석해 제로레이팅과 관련된 망 이용료 부담과 국내 스타트업의 역차별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제로레이팅을 적용한 서비스는 소비자가 내지 않는 데이터 요금을 콘텐츠 제공사가 대신 부담하는 사례가 많다.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는 “제로레이팅을 허용하는 유럽도 경쟁 방해 가능성을 고려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우리는 그런 기준이 없다”며 “제로레이팅의 서비스 기준을 만들어 공개하면서 허용 절차의 공정성과 전문성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