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사회적 약자들도 쉽고 편리하게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네이버는 17일 LG유플러스와 함께 지체장애인 300명에게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와 인공지능 음원 서비스 ‘바이브(VIBE)’ 1년 이용권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LG유플러스의 ‘행복한 나라 만들기’ 프로젝트의 하나로 네이버와 서울시설공단이 참여했다.
정석근 네이버 서치앤클로바 컴퍼니인컴퍼니(CIC) 리더는 “네이버의 기술철학은 정보와 사람을 연결하고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기술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며 “음성기술 자체가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텍스트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네이버가 연구·개발한 기술들이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찬 서울시설공단 복지경제본부 본부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사회적 약자들도 정보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력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지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기존 웹 서비스뿐 아니라 인공지능 서비스도 사회적 약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장애인 콜택시 호출 서비스’, ‘지하철 알리미’, ‘책 읽어주는 도서관’, ‘소리세상’ 등 서비스는 클로바에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손쉽게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음성콘텐츠들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네이버는 2018년 5월과 9월에도 LG유플러스와 함께 800대 규모의 인공지능 스피커와 음원 서비스 이용권을 기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네이버는 17일 LG유플러스와 함께 지체장애인 300명에게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와 인공지능 음원 서비스 ‘바이브(VIBE)’ 1년 이용권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 네이버의 스마트 스피커 '클로바 프렌즈 미니'.
이번 행사는 LG유플러스의 ‘행복한 나라 만들기’ 프로젝트의 하나로 네이버와 서울시설공단이 참여했다.
정석근 네이버 서치앤클로바 컴퍼니인컴퍼니(CIC) 리더는 “네이버의 기술철학은 정보와 사람을 연결하고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기술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며 “음성기술 자체가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텍스트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네이버가 연구·개발한 기술들이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찬 서울시설공단 복지경제본부 본부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사회적 약자들도 정보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력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지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기존 웹 서비스뿐 아니라 인공지능 서비스도 사회적 약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장애인 콜택시 호출 서비스’, ‘지하철 알리미’, ‘책 읽어주는 도서관’, ‘소리세상’ 등 서비스는 클로바에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손쉽게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음성콘텐츠들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네이버는 2018년 5월과 9월에도 LG유플러스와 함께 800대 규모의 인공지능 스피커와 음원 서비스 이용권을 기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