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이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원전해체연구소 공동유치에 성공해 미래 먹거리 마련에 자신감을 얻게 됐다.

광역단체장 지지율 꼴찌를 다투던 두 시장에게 모처럼 단비같은 소식이다.     
 
오거돈 송철호, 원전해체연구소 부산 울산 공동유치로 '단비' 맞아

오거돈 부산시장(왼쪽)과 송철호 울산시장.


부산시청에 따르면 15일 오거돈 시장, 송철호 시장,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부산 기장군 장안읍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운영기한이 끝난 원자력발전소를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 해체에 따른 환경파괴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문학적 규모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원전 1기를 해체하는 데 드는 비용은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를 기준으로 7500억 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 24기 가운데 12기는 2030년 안에 수명이 다해 해체절차에 들어가야 한다. 단순계산하면 2030년 안에 9조 원 규모의 원전 해체시장이 생기는 셈이다.

여기에 더해 해외의 원전 해체시장도 조만간 급성장기를 맞이한다.

부산시는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원전 438기 가운데 51%가 가동연수 30년을 넘어가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체에 돌입할 것으로 바라봤다. 전체 원전 해체시장 규모는 2110년까지 368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따라 원전 해체산업을 주도할 관련 기업들도 부산과 울산에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역경제의 불씨가 되살아날 거라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시작으로 산업부와 협의해 국내 원전 해체 관련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당초 부산, 울산, 경주 등 3개 지역이 유치 경쟁을 벌였지만 이번 공동유치 결정에 따라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걸친 지역에 들어선다.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등 관련 교육·연구기관이 근처에 있어 연구인력 확보가 수월할 것으로 평가됐다. 원전 해체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고리 1호기와 가깝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2022년 완공을 목표로 국가예산과 시 예산 등 2400억 원이 투입된다. 전체 규모는 3만6천 제곱미터에 이른다.

오 시장과 송 시장은 원전해체연구소를 발판 삼아 그동안 저조한 지지율의 원인으로 꼽혀온 지역경제 위기를 타파하는 데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오 시장과 송 시장은 최근 좀처럼 광역자치단체장 지지율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3월 기준 오 시장은 광역지자체장 17명 가운데 15위, 송 시장은 17위에 불과했다. 특히 송 시장은 5개월 연속 지지율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어 지지율 반등의 필요성이 크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