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18 국민 금융 이해력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64.9점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만 18∼79세의 한국 국민 24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부터 두 달 동안 진행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대학생이 포함된 20대(61.8점)와 60대(59.6점), 70대(54.2점)의 금융 이해력 점수가 낮았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420만 원(연 5천만 원) 이상이 65.6점으로 평균을 웃돌았고 월 250만 원(연 3천만 원) 미만은 58점으로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부문별로는 금융지식(65.7점), 금융태도(61.3점), 금융행위(59.9점)가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낮았다.
국민들은 대체로 재무적 안정장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월 소득 규모로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하면 스스로 감당할 수 있다고 느끼는 비중은 59.9%였다. 10명 가운데 4명은 돈을 빌리거나 도움을 받아야 했다.
주된 소득원이 없어지면 돈을 빌리거나 이사를 하지 않고 3개월 이상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변한 비중도 56.2%에 그쳤다.
노후 및 은퇴 대비 재무계획에 자신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은 31.1%에 이르렀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연령과 소득에 따라 맞춤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