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홍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사장이 적자 투성이 연료전지사업을 놓고 반전의 묘수를 찾아낼 수 있을까?
10년 이상 지속해 온 연료전지사업이 적자를 이어가는 만큼 사업을 접는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지만 국책사업과 맞물려 있어 사업을 중단한다면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조직개편을 통해 전중선 전략기획본부장이 비철강부문장을 겸직하도록 하면서 박 사장에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의 회생방안을 찾아야 하는 압박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 부문장은 비철강부문의 경영 효율화와 새 성장동력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 박 사장은 애물단지 연료전지사업과 관련한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는 셈이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은 2007년 사업부문을 신설한 뒤로 3300억 원에 이르는 영업적자를 냈다. 생산시설 투자 등의 비용소요를 감안하면 1조 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포스코에너지는 추산한다.
박 사장은 업계의 사업 철수 예상과 달리 연료전지사업에서 철수하는 일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이날 “연료전지사업에서 손을 뗄 생각은 결코 없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연료전지사업의 적자 원인이 기술 문제에 있는 만큼 이를 해결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서 비철강부문장이 결정된 만큼 박 사장은 연료전지사업 회생방안을 마련한다면 그룹 차원의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수월할 수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미국 퓨얼셀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료전지사업에 진출했는데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스택의 내구성이 예상보다 낮아 유지보수 비용이 불어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부터 연료전지부문의 사업 확장을 멈추고 기술적 문제 해결에 힘을 쏟고 있지만 성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3년 동안 기술연구에 매진했지만 스택의 수명이 아직 내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가 기술력 확보를 위해 애를 쓰는 사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90%가량에서 2018년 3분기 기준으로 57%까지 떨어졌다.
두산이 연료전지시장에서 영향력을 계속해서 확대해 업계에서는 올해 두산과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시장 점유율이 뒤집혔다는 말도 나온다.
11월에는 SK건설이 미국 블룸에너지와 연료전지 주기기 독점 공급계약을 맺고 국내 연료전지시장 진출을 본격화해 연료전지시장에서 포스코에너지의 입지는 계속 좁아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박 사장이 연료전지사업 철수를 생각하지 않는 데는 국책사업과 연관성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는 국내 연료전지사업 육성을 위한 국책사업 보조금으로 2018년 현재까지 정부 지원금 391억 원을 받았다.
여기에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이 기준가격보다 실제 전력가격이 낮을 때 그 차액을 보전해주는 발전차액지원제도에 편입돼 얻은 혜택을 감안하면 직·간접적 정부 지원금은 모두 7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그럼에도 포스코에너지는 몇몇 연료전지 관련 국책사업을 무산하는 등 주관사들에 손해를 끼치고 있어 연료전지사업을 중단한다면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전력공사는 2017년 2월 대구에 60메가와트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짓는 대구청정에너지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 말까지 완공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연료전지를 공급하기로 한 포스코에너지가 당초 논의된 가격보다 높은 비용을 요구해 사업이 기약 없이 연기되고 있다.
2015년 LG서브원이 수립했던 청주의 LG화학 공장부지를 임대해 10메가와트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짓겠다는 계획도 같은 이유로 최종 무산됐다.
한편 포스코에너지는 누적되고 있는 연료전지사업 적자를 줄이기 위한 사업적 활동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는 신의성실에 입각해 장기서비스계약(LTSA)기간 동안 엄청난 규모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발전사업자들에게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며 “더 큰 손실이 예상되는 원가 이하의 계약을 체결해 달라는 발전사업자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10년 이상 지속해 온 연료전지사업이 적자를 이어가는 만큼 사업을 접는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지만 국책사업과 맞물려 있어 사업을 중단한다면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박기홍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사장.
27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조직개편을 통해 전중선 전략기획본부장이 비철강부문장을 겸직하도록 하면서 박 사장에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의 회생방안을 찾아야 하는 압박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 부문장은 비철강부문의 경영 효율화와 새 성장동력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 박 사장은 애물단지 연료전지사업과 관련한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는 셈이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은 2007년 사업부문을 신설한 뒤로 3300억 원에 이르는 영업적자를 냈다. 생산시설 투자 등의 비용소요를 감안하면 1조 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포스코에너지는 추산한다.
박 사장은 업계의 사업 철수 예상과 달리 연료전지사업에서 철수하는 일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이날 “연료전지사업에서 손을 뗄 생각은 결코 없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연료전지사업의 적자 원인이 기술 문제에 있는 만큼 이를 해결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서 비철강부문장이 결정된 만큼 박 사장은 연료전지사업 회생방안을 마련한다면 그룹 차원의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수월할 수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미국 퓨얼셀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료전지사업에 진출했는데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스택의 내구성이 예상보다 낮아 유지보수 비용이 불어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부터 연료전지부문의 사업 확장을 멈추고 기술적 문제 해결에 힘을 쏟고 있지만 성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3년 동안 기술연구에 매진했지만 스택의 수명이 아직 내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가 기술력 확보를 위해 애를 쓰는 사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90%가량에서 2018년 3분기 기준으로 57%까지 떨어졌다.
두산이 연료전지시장에서 영향력을 계속해서 확대해 업계에서는 올해 두산과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시장 점유율이 뒤집혔다는 말도 나온다.
11월에는 SK건설이 미국 블룸에너지와 연료전지 주기기 독점 공급계약을 맺고 국내 연료전지시장 진출을 본격화해 연료전지시장에서 포스코에너지의 입지는 계속 좁아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박 사장이 연료전지사업 철수를 생각하지 않는 데는 국책사업과 연관성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는 국내 연료전지사업 육성을 위한 국책사업 보조금으로 2018년 현재까지 정부 지원금 391억 원을 받았다.
여기에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사업이 기준가격보다 실제 전력가격이 낮을 때 그 차액을 보전해주는 발전차액지원제도에 편입돼 얻은 혜택을 감안하면 직·간접적 정부 지원금은 모두 7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그럼에도 포스코에너지는 몇몇 연료전지 관련 국책사업을 무산하는 등 주관사들에 손해를 끼치고 있어 연료전지사업을 중단한다면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전력공사는 2017년 2월 대구에 60메가와트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짓는 대구청정에너지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 말까지 완공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연료전지를 공급하기로 한 포스코에너지가 당초 논의된 가격보다 높은 비용을 요구해 사업이 기약 없이 연기되고 있다.
2015년 LG서브원이 수립했던 청주의 LG화학 공장부지를 임대해 10메가와트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짓겠다는 계획도 같은 이유로 최종 무산됐다.
한편 포스코에너지는 누적되고 있는 연료전지사업 적자를 줄이기 위한 사업적 활동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는 신의성실에 입각해 장기서비스계약(LTSA)기간 동안 엄청난 규모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발전사업자들에게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며 “더 큰 손실이 예상되는 원가 이하의 계약을 체결해 달라는 발전사업자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