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산업계와 학계의 연구분야 협력정책을 통합한다.
이 총리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첫 회의에서 “분야와 부처별로 산재하고 중복된 산학연 협력정책에 통합된 비전을 제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 이낙연 국무총리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첫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그는 “이런 노력이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 2030년까지 최대 460조 원 규모의 경제효과를 내겠다는 정부 목표를 이루는 일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학연협력위원회는 산학연 협력과 관련된 정책을 연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2017년 11월 산학협력법의 개정에 따라 설립 과정을 진행한 끝에 이날 활동을 시작했다.
이 총리는 최근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내놓은 국가 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이 인프라와 정보통신 기술(ICT) 보급 1위에 오른 반면 대학과 산업의 연구개발 협력은 27위, 창의적 비판적 사고의 교육은 90위에 그친 점을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취업 인력의 숙련도가 낮아 기업이 노동자의 숙련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인재와 산업을 연결하는 것이 산학연 협력인 만큼 우리의 강점과 약점도 연결해 서로 보완하고 상승 효과를 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산학연협력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산업교육을 다양화하고 내실화해 창의적 인재를 키울 전략을 세웠다. 잠재기술을 이전하고 사업화해 높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고 창업 지원체제와 산학연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도 마련하기로 했다.
부처별 분석을 바탕으로 신산업 분야의 인재를 키운다.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와 내일배움카드 등을 이용해 직업교육 훈련과 취업의 연계를 강화한다.
대학과 정부에서 출연받은 연구소 등이 보유한 원천 기술을 산업계에서 바로 쓸 수 있도록 외부 기술 도입과 후속 개발을 돕는다. 지식재산의 이전과 사업화 범위를 넓히고 부처별로 관리하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창업에 유망한 기술을 보유한 대학과 연구소 등의 내부 규정과 기관 평가제도를 창업과 가까운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유도한다. 산업단지 안에 거점 대학교와 기업의 융합체계를 조성하고 대학 안에도 기업과 협력하는 공간 등의 인프라를 만든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