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사들이 ‘펫보험(반려동물 보험)’을 새 먹거리로 삼기 위한 채비를 하고 있다. 

다만 펫보험시장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반려동물 진료비의 적정 기준을 마련하고 반려동물 등록제를 안착하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펫보험에 손해보험사 관심 높아졌지만 갈 길은 아직 멀어

▲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 롯데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 4곳이 펫보험을 다루고 있고 메리츠화재가 최근 펫보험을 준비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 롯데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 4곳이 펫보험을 다루고 있고 메리츠화재가 최근 펫보험을 준비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는 2013년 펫보험을 내놓았다가 1년여 만에 판매 중단했지만 다시 새 상품을 내놓기 위한 채비를 하고 있다.

한화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현대해상 등도 추가로 새로운 펫보험 상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위원회가 보험산업의 ‘메기’ 역할을 할 펫보험 특화보험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보험개발원이 반려동물 보험상품의 보험료 산정체계를 만들면서 보험사들의 펫보험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보험개발원은 8월에 반려동물 진료비 분석 등을 기초로 한 참조용 순보험료율을 내놓았다. 순보험요율이란 보험사가 상품을 개발할 때 위험률을 감안해 어느 정도 순보험료를 받아야 하는지 보여주는 보험료율이다. 

보험회사는 그동안 펫보험과 관련된 순보험요율이 정해지지 않아 펫보험을 다루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일정 부분 해소된 것이다. 

반려동물 보험시장은 아직 우위를 점한 손해보험사가 없는 상황에서 미래 성장성도 밝은 만큼 손해보험사들이 새 먹거리로 눈 여겨 보고 있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보험의 연간 보험료 규모는 10억 원가량으로 일본시장(500억 엔) 규모의 0.2%에 불과하지만 성장 잠재력은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반려동물 수는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874만 마리로 집계됐는데 2010년(476만 마리)보다 83.6% 증가했다.

보험개발원은 의료 기술이 발전하고 반려동물들의 영양상태가 개선돼 반려동물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지는 등 보험시장 환경도 우호적이라고 파악했다.

다만 반려동품 보험 가입률이 0.2%에 불과한 상황에서 펫보험시장이 안정적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추가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동물병원의 '고무줄' 진료비가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1999년 자율경쟁을 통해 동물병원의 진료비를 낮추기 위해 동물 의료수가제도가 폐지된 뒤 진료비 기준을 잡기 애매해졌다는 것이다.

동물병원마다 진료비가 들쭉날쭉해 과잉 진료 및 과잉 보험금 청구가 이뤄질 수 있다.

반려동물 진료비의 공시제를 도입하거나 동물 의료수가제도를 다시 도입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까닭이다.

반려동물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펫보험시장이 커지기 어려운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는 2014년부터 반려동물 등록을 의무화하고 위반하면 최대 60만 원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반려동물 등록 현황(누계)’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등록된 반려동물은 117만5516마리에 불과하다.

펫보험은 반려동물로 등록된 동물 가운데 만 6~7세 이하인 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등록된 반려동물 수가 적어 시장이 커지기 어려운 여건이다.

박 의원은 “반려동물 등록제를 전국에 의무시행한지 5년이 다 되어 가지만 등록률은 현저히 낮다”며 “동물등록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고 등록 절차를 간소화 등 등록률을 높이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