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의 사전브리핑을 통해 일자리 창출계획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
정부가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 지식재산분야에서 전체 민간 일자리 10만1천 개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SW), 지식재산(IP)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9년에 예산 6187억 원을 지원하는 내용 등을 담은 민간 일자리 창출대책을 의결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분야가 고령화 시대의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일자리 창출대책에 넣었다. 소프트웨어분야는 높은 청년고용 효과, 지식재산분야는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점을 생각해 대책에 포함했다.
보건복지부(바이오헬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소프트웨어), 특허청(지식재산)은 2019년도 예산안에 관련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 이 예산 규모를 개별적으로 살펴보면 바이오헬스 1881억 원, 소프트웨어 2900억 원, 지식재산 1406억 원이다.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분야에서 제약·의료기기·화장품산업을 중점적으로 키우기로 했다. 벤처창업을 활성화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해외시장 진출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제약·의료기기·화장품산업을 키우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와 국내외 시장경쟁력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바이오헬스 관련 벤처회사의 모든 창업 과정을 지원해 2022년까지 연간 창업기업 수를 900개로 늘릴 계획을 세웠다.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은 2015년 기준 연간 700개 정도다.
바이오헬스 관련 우수 인력 1만 명을 키울 방침을 내놓았다. 바이오헬스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정밀의료와 재생의료 등 신기술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분야의 일자리를 2017년 14만4천 개에서 2022년 18만6천 개로 4만2천 개 늘리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웨어분야의 실무 인재를 4만 명 키우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소프트웨어 일자리 2만4천 개를 만들기로 했다.
대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부문에 혁신모델을 도입하고 4차산업혁명과 연관된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확충하기로 했다. 소프트웨어 고성장기업 100개를 키우고 청년들의 관련 창업과 성장을 돕기 위한 집중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특허청은 특허와 디자인 등 지식재산분야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취업 연계형 지식재산 인재 양성’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대학교에서 지식재산 교육을 받아 일정 조건을 맞춘 학생을 기업에서 채용하는 방식이다.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이 지식재산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도 세웠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지식재산과 직접 관련된 일자리 1만1천 개, 기업 성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마련된 일자리 3만5천 개를 만들기로 했다.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정부는 고용에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국민의 큰 걱정에 응답해야 한다”며 “일자리위원회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일자리를 만드는 일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부위원장은 “노동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전처럼 신규 취업자 수가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30만 명~40만 명에 이르기 어렵다는 객관적 사실은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8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는 10월 말에 열린다.
문재인 대통령이 일자리위원회 위원장으로서 8차 회의를 직접 주재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