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왼쪽부터 허창수 전경련 회장,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박병원 경총 회장 후보 |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의 대표적 경제단체다.
이들 단체를 이끄는 회장들이 모두 결정됐다. 연임이 확정된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에 이어 박병원 전 전국은행연합회장도 경총 회장을 수락했다.
대내적으로 반기업정서와 대외적으로 경제불확실성 확대 등 안팎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들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커지고 있다.
경총 회장은 지난해 이희범 전 회장이 물러난 뒤 1년 동안 공석이었다. 김영대 대성산업 회장이 회장대행으로 협회를 이끌어 오는 동안 여러 재계인사들에게 회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했으나 모두 손사레를 쳤다. 자리에 대한 부담 때문이다.
경총은 박병원 전 회장에게 지난해 말 회장을 제의했고 박 회장은 장고 끝에 수락했다. 박 전 회장은 오는 26일 경총 총회에서 회장으로 추대된다.
박 전 회장이 경총에 추대되면 경총 사상 처음으로 기업 출신이 아닌 인사가 회장이 된다.
박 전 회장은 경제기획원과 재정경제부,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거친 관료 출신이다. 전임인 이희범 전 회장도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한 관료였으나 경총 회장으로 취임할 때 STX중공업과 STX건설 회장을 맡고 있었다.
경총이 비기업인 회장을 추대하기로 한 것은 통상임금과 정년연장, 임금피크제 등 민감한 노사 이슈를 현안으로 다루고 있는 경총의 상황 때문이다.
경총은 노동개혁 현안을 다루고 있는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본위원회에서 재계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총회장 제의를 받은 많은 기업인들이 부담을 느끼고 제안을 고사했다.
박 전 회장은 기획재정부 차관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내며 각종 정책입안과 조율 경험이 풍부하다. 박 전 회장은 경총 회장으로서 공직경험을 살려 정부의 노동개혁과 경제활성화 정책에 발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경총에 앞서 전경련은 10일 허창수 GS그룹 회장을 회장에 재추대했다. 허 회장은 3연임째다. 전경련 역시 회장을 맡을 사람이 없어 특별한 공과가 없는 허 회장을 다시 선임한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은 경제단체 중 가장 높은 위상을 자랑해 왔으나 최근 정기총회에 참석하는 회장단 숫자가 6~7명에 불과할 정도로 활동이 위축돼 있다.
지난해부터 꾸준히 회장단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회장단에 참여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다. 올해 정기총회에서 이장한 종근당 회장을 부회장으로 선임했으나 무게감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전경련 관계자들은 허 회장이 이전처럼 전경련 위상을 높여주기를 바라고 있다.
허 회장은 전경련 회장으로 재취임하면서 “임기 동안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육성할 것”이라며 “장기불황의 우려를 털고 힘차게 전진하자”며 의지를 보였다.
허 회장은 “세계적 추세에 반해 우리나라만 세금을 올리면 기업들 경영능력이 떨어질 것”이라며 “전경련 차원에서 법인세 인상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도 연임이 거의 확실하다. 박 회장은 24일 서울상의 정기 의원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상의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을 겸직하기 때문에 사실상 대한상의 회장으로 결정된 셈이다.
박 회장은 2013년 손경식 CJ 회장이 그룹 경영에 전념하기 위해 대한상의 회장에서 물러나자 자리를 이어받아 1년 반의 잔여임기를 채웠다. 이번에 새로 회장에 선출되면 3년의 회장임기를 처음으로 시작한다.
박 회장은 지난해 대한상의 내에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정책자문단을 신설하고 정부 정책과제를 발굴해 제안하는 등 활발히 움직였다.
또 박 회장 본인은 경제계의 유엔이라 불리는 국제상업회의소(ICC) 집행위원에 선임되는 등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지난해 박 회장은 해외출장 50회, 비행거리 27만9천 킬로미터로 경제 순방외교에도 적극 참여했다.
박 회장은 지난달 신년 인터뷰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언급하며 “충분한 처벌을 받았다”며 “기회를 줘야 할 것”이라고 사면을 촉구했다. 경제단체장 가운데 최 회장 사면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사람은 박 회장이 처음이다.
박 회장은 또 “올해가 한국경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풀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