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사들이 하반기에 자동차 보험료를 최소 3% 이상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 정비요금 인상 등을 감안해 자동차 보험료 인상 시기와 폭을 저울질하고 있다.
정비요금 상승과 손해율 악화, 최저임금 인상 등이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손해보험업계와 자동차정비업계는 정비요금을 8년 만에 올리기로 6월 말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정비요금이 20%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반영하면 손해보험사들의 연간 보험금 지급액은 3천억 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보험개발원은 정비요금 인상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적정 인상폭을 2.9%가량으로 봤다.
올해 휴가철과 폭염으로 자동차 사고가 늘어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크게 나빠진 점도 보험료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손해율이란 보험회사가 거둬들인 보험료 가운데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을 말한다.
1분기 말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적정 손해율 77∼78%를 웃도는 82.6%를 나타냈고 2분기 말 손해율도 80%대 중반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밖에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사고가 날 때 지급되는 소득보상금(휴업손해, 상실수익액 등)도 덩달아 늘어난 데다 7월부터 상급·종합병원 2~3인실에 건강보험이 적용돼 자동차보험으로 청구되는 병원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감독원 등도 자동차 보험료 인상요인이 합당하다면 별다른 제동을 걸지 않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올리면 2016년 말 이후 2년여 만이다.
손해보험사들은 정비요금 인상과 손해율 악화 등을 모두 반영하면 자동차 보험료 적정 인상폭은 7~8%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금융당국의 눈치를 봐야하는 만큼 실제 인상폭은 절반 수준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 정비요금 인상 등을 감안해 자동차 보험료 인상 시기와 폭을 저울질하고 있다.

▲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손해보험사들이 하반기에 자동차 보험료를 최소 3% 이상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비요금 상승과 손해율 악화, 최저임금 인상 등이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손해보험업계와 자동차정비업계는 정비요금을 8년 만에 올리기로 6월 말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정비요금이 20%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반영하면 손해보험사들의 연간 보험금 지급액은 3천억 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보험개발원은 정비요금 인상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적정 인상폭을 2.9%가량으로 봤다.
올해 휴가철과 폭염으로 자동차 사고가 늘어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크게 나빠진 점도 보험료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손해율이란 보험회사가 거둬들인 보험료 가운데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을 말한다.
1분기 말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적정 손해율 77∼78%를 웃도는 82.6%를 나타냈고 2분기 말 손해율도 80%대 중반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밖에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사고가 날 때 지급되는 소득보상금(휴업손해, 상실수익액 등)도 덩달아 늘어난 데다 7월부터 상급·종합병원 2~3인실에 건강보험이 적용돼 자동차보험으로 청구되는 병원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감독원 등도 자동차 보험료 인상요인이 합당하다면 별다른 제동을 걸지 않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올리면 2016년 말 이후 2년여 만이다.
손해보험사들은 정비요금 인상과 손해율 악화 등을 모두 반영하면 자동차 보험료 적정 인상폭은 7~8%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금융당국의 눈치를 봐야하는 만큼 실제 인상폭은 절반 수준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