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우여곡절 끝에 사업을 재개한 수리온의 비행 안전성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수리온을 토대로 제작된 마린온이 시범 주행 중 추락해 사망사고를 냈기 때문인데 앞으로 수리온 수출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 해병대 헬기 사고로 수리온 수출 또 차질빚나

▲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이사 사장.


18일 군당국은 육군과 해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90여 대의 수리온과 계열 헬기 운항을 전면 중단하고 사고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마린온은 수리온을 상륙기동헬기로 개조한 모델이다. 2013년 개발을 시작해 2015년 1월 첫 비행을 했고 2016년 1월 개발을 마쳤다.

올해 1월 실전 배치를 위해 해병대에 투입돼 올해 2대, 2019년 4대, 2023년까지 모두 28대가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17일 시험 비행에서 첫 사망사고를 냈다.

해병대에 따르면 마린온은 17일 오후 4시46분경 경북 포항 남구 비행장 지상 10m 상공에서 갑자기 활주로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헬기에 타고 있던 승무원 5명이 사망하고 1명이 다쳤다. 추락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수리온은 개발이 완료된 이후부터 꾸준히 안전성 문제를 지적받아왔다. 

2015년 1월과 2월 비행훈련 중 엔진 과속이 발생해 비상착륙했고 2015월에는 같은 현상으로 추락했다. 2017년 11월 시험 비행 당시에도 기체 이상으로 착륙했다.

각종 안전성 논란으로 ‘깡통헬기’라는 별명까지 붙으면서 전력화가 중단됐지만 2017년 11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가 수리온 양산사업 재개를 결정해 다시 실전에 투입됐다.

방산업계는 올해 6월1일 수리온이 보유한 결함 가운데 하나인 체계결빙 운용능력에 대한 감항성을 인증받은 것을 계기로 수리온의 안전성 문제들이 하나둘 해소되고 있다고 바라봤다.

이와 함께 국내 방산업계의 주요 고객인 필리핀의 두테르테 대통령이 수리온에 높은 관심을 보여 수리온의 필리핀 수출도 가능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이번 마리온의 추락 사고로 수리온 수출에 먹구름이 드리울 수도 있다.

도입한지 6개월이 안 된 헬기에서 대형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은 수출 전망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2017년에도 인도네시아와 태국, 이라크, 중남미 국가 등과 수리온 납품 계약을 진행했지만 갑작스런 방산비리 수사로 협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감사원이 수리온의 엔진·기체·탑재장비 문제와 기체 내 빗물 누수 문제, 결빙 성능, 낙뢰 보호 기능 미비, 엔진 형식 인증 미비 등으로 안전 문제가 있다고 평가하면서 수리온을 둘러싼 방산비리 의혹이 터져 나왔다.

이번 마린온 추락사고를 두고 수리온의 안전성 문제가 다시 불거져 나오면 2017년과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도 있다.

두테르테 대통령이 수리온에 관심을 보였을 뿐 아직 본격적 수출 협상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결함 가능성만으로도 협상이 엎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직 사고원인이 규명되지 않았고 조종사 과실이나 정비 불량일 가능성도 있는 만큼 사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사위원회는 우선 사고현장 검증과 목격자를 상대로 구체적 사고 정황을 확인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는데 기체 결함 여부를 비롯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18일 사고 원인 규명과 대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발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