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5월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7월에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최근 '경기둔화론’이 불거지면서 금리 인상 시기가 10월로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기준금리 5월 동결 유력, '경기둔화' 논란에 향후 금리인상 불투명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4월12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4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뉴시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회의를 열어 5월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증권업계에서는 그동안 5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을 지지하는 소수의견이 나온 뒤 7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그러나 하반기 경기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기존 전망에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초부터 지속되고 있는 고용 부진은 한국은행과 정부에게 모두 부담이 되고 있다"며 "5월 금통위는 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내지 않고 고용과 소비 등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뜻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제시되면 시장은 ‘금리 인상 신호’로 받아들이는 데 이럴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여건을 살펴보면 취업자 수 증가폭이 3개월 연속 10만 명대에 머물렀고 물가상승률은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는 등 국내 경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부진하게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우려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6월 금리 인상 가능성,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한국경제를 둘러싼 대외적 환경도 낙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인사들이 엇갈린 경제전망을 내놓으면서 '경기둔화론'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14일 페이스북에 “여러 지표로 볼 때 우리나라 경기는 침체국면의 초입 단계에 있다고 본다”고 판단했다.

기획재정부가 11일 내놓은 5월 경제동향(그린북)에서 “경제가 전반적으로 회복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라고 진단한 데 정면으로 반박한 모양새다.

김동연 경제부총림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현상과 구조를 동시에 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2분기와 3분기가 중요한 만큼 경제정책적으로 관리해서 경기 회복흐름을 이어가겠다”고 말해 김광두 부의장에 다시 반박했다.

한국경제가 저성장 기조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는 모두 동의하지만 침체국면인지 회복국면인지를 놓고 맞붙은 셈이다.

해외 기관들은 한국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진단에 힘을 싣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99.76으로 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이 지표는 2017년 6월부터 2018년 2월까지 9개월 연속 떨어지기도 했다.

경기선행지수가 100을 밑돌면서 하락 추이에 있으면 경기 침체국면으로, 100을 밑돌면서 상승 추이에 있으면 회복국면으로 평가한다. 

글로벌 투자회사(IB)인 골드만삭스도 “한국의 고용둔화와 반도체 주도 수출 관련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실물지표를 근거로 통화정책을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시기를 7월에서 10월로 늦췄다.

경제여건이 지금보다 더욱 악화되면 한국은행이 올해 금리 인상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임혜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4월에 2018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8%로 낮췄는데 앞으로 대외환경이 더 빠르게 악화되면 추가로 경제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것”이라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시기도 예상보다 더 미뤄지거나 올해 금리 인상 자체가 어려워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