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시장 대어로 떠오른 ING생명의 매각이 언제 성사될까.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가 경쟁적으로 눈독을 들여 올해 안에 ING생명 매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MBK파트너스 올해 ING생명 매각할까, 금융지주사 몸 달아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그러나 ING생명 지분의 절반 이상을 쥐고 있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매각을 서두르기보다 더 많은 차익을 노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어 인수를 하고자 하는 쪽에서는 몸이 달아오를 수도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ING생명의 지분으로 자본구조 재조정(리캡)을 실시해 최대 1조2천억 원 규모의 투자수익을 회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ING생명의 지분을 담보로 잡아 대출을 일으키고 이 돈을 기존 투자자들에게 배당으로 먼저 지급하겠다는 뜻이다. 그만큼 내부 수익률을 올려 성과를 돋보이게 만들겠다는 심산이다. 

MBK파트너스는 2013년 특수목적회사(SPC) 라이프투자유한회사를 통해 ING생명 지분 100%를 1조8400억 원에 사들였다. 라이프투자유한회사는 MBK파트너스의 100% 자회사다.

ING생명이 2017년 5월 상장되면서 라이프투자유한회사도 100% 주주는 아니게 되었지만 2018년 3월 기준 보유지분율 59.15%로 최대주주 자리를 지키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2016년에 1조1900억 원 규모의 자본구조 재조정을 했고 이번에도 또 같은 방안을 추진하면서 ING생명에 투자한 금액을 모두 회수하고 추가 수익도 얻게 됐다. 

두 차례의 자본구조 재조정 규모만 합쳐도 최대 2조4천억 원이다. ING생명의 배당성향(순이익에서 배당금의 비중)도 2017년 57.8%에 이르러 MBK파트너스에 상당한 배당수익을 안겨줬다.  

이 때문에 MBK파트너스가 ING생명 지분을 당장 팔지 않고 인수합병시장의 상황을 좀 더 지켜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자본구조 재조정을 통해 투자원금을 사실상 모두 회수한 만큼 ING생명에서 배당수익을 안정적으로 받으면서 향후 매각차익을 극대화할 방안을 찾는 데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G생명은 2019년까지 배당성향을 50% 이상으로 유지할 방침을 세웠다. 이 배당성향 목표치는 국내 보험사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ING생명 주가는 현재 4만5천 원대에 머무르고 있어 최근 3개월 동안 종가 기준으로 최고점인 2월1일 6만2100원과 비교하면 27% 정도 낮다. 

현재 주가도 상장 초기인 3만 원대 초반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지만 MBK파트너스에서 주가가 고점 수준으로 회복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MBK파트너스가 올해 안에 ING생명 매각절차를 끝낼 수 있다는 시각도 여전히 만만찮다. 인수합병 이야기가 한 차례 떠오른 이상 주가가 더 오르는 것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남석 KB증권 연구원은 “ING생명 최대주주가 사모펀드라 언제든 지분을 매각할 수 있어 인수합병에 따른 수혜 기대는 현재 주가에 충분히 반영됐다”며 “최대주주 변경 여부가 가시화되면 지금껏 주가를 띄워줬던 배당정책이 계속 될지 여부에 관한 불확실성이 오히려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MBK파트너스 올해 ING생명 매각할까, 금융지주사 몸 달아

정문국 ING생명 대표이사 사장.


ING생명 매각가격도 현재 주가 수준에서도 매우 높게 예상되고 있다. 라이프투자유한회사의 보유지분 59.15%에 시가를 적용하면 2조4천억 원 정도고 경영권 프리미엄 20~30%까지 감안하면 3조 원을 넘어설 수 있다. 

유력 인수후보인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가 ING생명을 사들이는 데에 신중한 태도를 지키고 있는 것도 높은 인수가격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ING생명이 2018년 안에 매각돼야 MBK파트너스가 가장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ING생명이 ‘ING’ 상표권을 2018년까지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MBK파트너스는 2013년 ING생명을 인수했을 때 본래 최대주주였던 네덜란드 ING그룹과 5년 동안 상표권을 쓸 수 있는 계약을 체결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ING생명이 2019년부터 쓸 새 상호 등을 준비하고 있지만 MBK파트너스의 매각차익을 극대화하려면 본래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을 때가 유리하다”며 “유력 인수후보들도 있고 브랜드 가치도 남아있는 2018년이 ING생명의 매각 적기라는 의견도 만만찮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