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혜 기자 wisdom@businesspost.co.kr2018-03-26 17:57:44
확대축소
공유하기
철강회사들이 미국에서 철강관세 면제조치를 받은 데 안도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전쟁이 확대되면 한국 철강회사들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 겸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한국철강협회는 26일 보도자료를 내고 “한국이 미국 정부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에서 제외된 것은 다행”이라며 “다만 미국정부가 매우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서 우리 정부가 더 많은 철강 수출쿼터를 확보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한국철강협회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을 국내 주요 철강회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국내 철강회사 조직이다.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한국산 철강재에 관세 25%를 물리지 않기로 합의했다.
다만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한국산 철강재가 미국에 268만 톤만 수출되도록 쿼터를 정하기로 했다. 이는 2015~2017년까지 평균 수출량의 70% 정도다.
한국철강협회는 “미국 정부가 당초 2017년 한국산 철강재 수입규모의 63%를 쿼터로 정하려고 했던 것보다 양호한 결과”라며 “한국이 철강 관세 부과 대상국에서 빠진 것은 미국이 한국을 주요 동맹국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향후 협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철강협회는 철강통상대책위원회를 세우고 내부 통상역량을 결집해 철강통상 대응체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강관류 철강제품 수출이 2017년보다 크게 줄어들면서 피해를 입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철강회사들은 2017년 강관제품을 미국에 203만 톤 수출했는데 미국 정부는 104만 톤으로 쿼터를 정했다. 미국에 수출할 수 있는 강관제품 규모가 반토막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유정용강관 등 강관제품 수출규모가 크게 줄어들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강관회사들이 다양한 국가에 수출할 수 있도록 돕고 내수판매를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철강회사들이 미국 정부 정책으로 직접적 타격은 비껴갔지만 향후 중국 등에서 간접적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떠오른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곧 중국에서 철강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중국 정부는 3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철강, 돈육, 와인 등에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미국과 중국에서 무역전쟁이 벌어지면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면서 최종적으로 중국에서 철강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박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현재 정치적 안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므로 처음에만 보여주기식 보복관세를 미국산 제품에 물리고 미국과 전면적 무역전쟁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