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건설사들이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의 강화로 받는 타격은 당분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20일 “안전진단 기준 강화가 재건축사업의 실행시기를 늦추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업이 본격화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안할 때 최소 3년 안에는 국내 건설사 신규 수주가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서울특별시 한강이남지역 아파트 단지 모습. |
재건축사업은 △기본계획수립 △예비안전진단 실시 △정비계획 수립 △정비구역 지정 △조합설립 △재건축추진위원회 구성 △정밀안전진단 실시 △조합설립인가 △사업시행인가 △시공사 선정 △분양신청 △관리처분계획인가 △일반분양 △이주 △철거 △착공 순서로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예비안전진단부터 시공사 선정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3년 이상이고 착공까지는 평균 8~9년가량 걸린다.
이에 따라 현재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한 단지는 이번 정부 안에 수주나 착공을 진행할 수 없다.
건설사들은 재건축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돼야 신규 수주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3년 동안은 안전진단 강화대책에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백 연구원은 “수주잔고와 재건축사업이 진행되는 기간을 고려하면 국내 건설사들이 6년 안에 수주 급감을 겪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현재 확보할 수 있는 재건축사업 지역도 핵심 지역에 집중돼 있어 앞으로 수익이 줄 것이라는 우려는 지나치다”고 파악했다.
대형 건설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택부문 수주잔고가 넉넉해 안전진단이 강화되더라도 당장 매출과 영업이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다고 본 것이다.
대형 건설사들은 주택부문에서 평균 3년7개월 치가량의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다. 삼성물산이 5년2개월 치로 가장 많고 GS건설과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도 약 4년치 일감을 보유하고 있다.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방침이 오히려 대형 건설사 실적에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현재 안전진단을 통과하고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있는 서울지역 단지의 70% 이상이 핵심사업지인 것으로 파악된다.
대부분 서울시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 강남4구에 집중돼있는데 안전진단 강화 등 부동산 규제로 한강 이남지역의 주택공급이 줄어들면서 분양가격이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다.
대형 건설사들이 국내 주택사업에서 일정부분 타격을 받는다고 해도 해외사업에서 국내사업의 수주공백을 방어할 가능성도 높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는 올해 1월부터 3월20일까지 기준으로 해외에서 80억 달러가량을 새로 수주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늘었다.
국내 건설사는 2014년에 해외에서 660억 달러가량을 수주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기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주금액를 냈는데 올해 수주 추이는 2014년과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