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혜 기자 wisdom@businesspost.co.kr2018-03-08 17:05:24
확대축소
공유하기
성동조선해양이 당장 죽을 고비를 넘겼지만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당장 성동조선해양을 청산하기에 부담이 커 성동조선해양이 법정관리를 받도록 만들면서 시간을 끈다고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 오은상 성동조선해양 대표이사 직무권한대행.
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성동조선해양이 법원 주도 아래 회생절차를 밟으며 사업구조를 재편하더라도 생존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성동조선해양 자율협약을 종결하고 성동조선해양이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도록 만들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수출입은행은 보도자료에서 성동조선해양이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해 자금유출을 막고 지출을 최소화하면 법원 주도로 회생계획안을 마련할 때까지 6개월 이상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성동조선해양이 법원 회생절차를 밟는 것을 놓고 사실상 회생하기 어려워 우선 시간을 끄는 것으로 바라보는 해석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조선사에 선박을 발주할 선사가 있을지 알 수 없다”며 “법정관리를 받는다는 것은 재무구조가 매우 나쁜 상황이라는 의미라서 설사 선박을 수주하더라도 은행으로부터 선수금환급보증을 받지 못해 본계약도 맺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사는 일반적으로 계약금 일부만 선수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선박을 인도할 때 받는 헤비테일 방식으로 선박을 수주한다.
선주들은 조선사가 선박을 안정적으로 건조할 만큼 자금상황이 넉넉한지 꼼꼼하게 살펴본다. 이 때문에 조선사가 법정관리를 밟게 되면 수주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다고 업계는 바라본다.
성동조선해양은 지난해 11월 마지막으로 선박을 건조해 선주에게 인도한 뒤 작업을 사실상 중단하고 있다. 2017년 그리스 선주로부터 수주한 선박 5척도 선주로부터 공정연기 요청을 받아 건조하지 않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실사 결과 성동조선해양이 블록공장으로 바뀌거나 선박 개조사업에 진출해도 장기간 순손실을 내고 자금난에 허덕일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성동조선해양이 블록공장으로 업종을 바꿔도 이미 다른 조선사들은 자체적으로 블록을 생산해 조달할 수 있어 성동조선해양에 발주하지 않을 것”이라며 “선박수리 조선사로 전환하면 사업 특성상 오염물질을 너무 많이 배출하게 돼 지역사회와 갈등을 빚으면서 잡음을 낼 것”이라며 회의적 시각을 보였다.
수출입은행은 성동조선해양이 법정관리를 받으며 다운사이징, 채무재조정, 자산매각 등을 추진하면 사업전환과 인수합병 등 다양한 회생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실상 성동조선해양이 사업구조나 업종을 바꿔도 살아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일 수도 있다.
성동조선해양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도 논의해야 할 상황이 많아 아직 공식적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며 “직원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