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현 삼성에버랜드 사장이 품었던 ‘토종 명품 브랜드 육성’의 꿈을 잠시 쉬어가려고 한다. 야심차게 출발했던 토종 명품 브랜드를 하나 둘 정리하고 수익성이 높은 중저가 브랜드에 집중하고 있다.
![]() |
||
▲ 이서현 삼성에버랜드 패션부문 경영기획담당 사장 |
지난해 8월에는 자체 브랜드 ‘데레쿠니’도 정리했다. 데레쿠니는 2003년 국내 패션 업계에서 처음으로 이탈리아 밀라노에 현지법인을 설립해 세계적 명품 브랜드 육성을 위해 만든 토종 브랜드다. 이 브랜드는 출시 3년 만에 3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이탈리아 패션계에서 급부상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제품판매가 잠정 중단됐다. 이후 2011년 4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다시 출시했으나 결국 수익 악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정리됐다.
이 사장은 제일모직 시절부터 글로벌 명품 브랜드를 직접 육성하겠다며 명품 라인 강화에 힘써왔다. 발망과 토리버치를 비롯해 릭오웬스, 발렉스트라 등을 국내로 들여온 것도 이 사장이다. 이 사장은 서울예술고와 뉴욕의 파슨스디자인스쿨을 졸업하며 패션의 길을 걸어왔는데, 명품을 보는 눈과 글로벌 감각이 뛰어나다는 평을 들어왔다.
최근 들어 이 사장의 명품 고집이 한 풀 꺾인 이유는 수익성 때문이다. 금융위기의 여파로 명품의 판매량이 예전 같지 않은 반면 중저가 브랜드의 수익성은 크게 높아졌다. 특히 2012년 초 직접 준비해 출시한 ‘에잇세컨즈’가 대성공을 거두면서 이 사장도 갈 길이 먼 명품 브랜드 육성보다 당장 수익성이 좋은 중저가 브랜드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
에잇세컨즈는 지난 3월1일 서울 강남 코엑스몰 1층에 ‘자라’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를 꿰차고 들어섰다. 개점 첫 날 방문객 수 8천여 명, 매출 1억 원을 훌쩍 넘는 기록을 세웠다. 이 사장이 3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내놓은 에잇세컨즈는 지난해 매출 1300억 원을 올리며 출시 2년 만에 연간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이 사장은 앞으로도 중저가 브랜드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자체 명품 브랜드 육성은 이미 몇 번의 실패로 다시 추진할 동력을 잃었고 수익도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에잇세컨즈는 내년 중국 진출을 결정했다. 에잇세컨즈 관계자는 "중국 진출을 시작으로 동남아와 일본, 북미 등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 2020년까지 매출 10조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