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표는 이 글에서 “최근 검색어 노출 제외 조치와 관련한 보도가 있었고 이 기사에 대한 회사의 입장은 이미 공식블로그를 통해 밝혔지만 이번 논란이 ‘발전적 논의’로 이어지기를 바란다”며 “네이버가 부득이 검색어를 노출 제외하는 이유와 제외 내역에 대해 외부 기관에 검증을 맡기고 결과를 공개하는 취지에 대해 추가 설명을 드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증위원회는 보고서를 내고 네이버가 최순실 관련 검색어 등 다수의 연관 검색어와 자동완성 검색어를 삭제했다고 밝혔다.
KISO는 2009년 인터넷사업자들이 업계 이슈를 자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출범한 단체로 네이버는 검색어 조작 논란이 벌어진 2012년 이후 이 단체에 검증을 맡겨왔다.
KISO 검증위는 보고서에서 네이버가 2016년 10∼11월 삭제한 연관 검색어와 자동완성검색어에 국정농단 사건 관련 키워드가 상당수 포함됐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적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네이버는 이에 1월7일 네이버 다이어리를 통해 해명문을 내놨는데 한성숙 대표가 나흘 만에 추가로 입장을 밝힌 것이다.
한 대표는 “네이버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기업으로서 인터넷의 본질적 가치인 ‘연결’과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고 생성된 검색어는 최대한 노출하는 것이 네이버의 원칙”이라면서도 “일부 검색어에 대해서는 법령에 근거해 불가피하게 제한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가 예를 든 제한사유는 음란, 도박, 마약 등 불법정보와 인격체의 명예훼손 또는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는 경우로 이는 대법원 판결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대법원 판단에도 불구하고 검색어를 노출 제외하는 행위 그 자체와 검색어 하나하나가 모두 적절하게 제외 처리됐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알 권리와 인격권에서는 상충되는 면이 있고 정답이 되는 무게중심도 보는 관점마다 다르고 시대가 변하면서 무게 중심도 요동친다”고 말했다.
그는 “네이버 역시 상충되는 가치 사이에서 판단의 중심을 잡는데 매번 어려움을 겪고 있고 양 방향에서 지적을 받고 있지만 외부의 목소리를 수렴해가는 과정을 멈추지 않겠다”며 “네이버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검색어 제외 규정을 외부에 공개하고 이에 따른 제외 조치가 과연 적절했는지 다시 외부 기관을 통해 검증받으며 그 결과를 공개해 다양한 외부의 목소리를 수렴해가는 과정을 멈추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의 제외 조치 하나하나에 대한 외부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겠다”며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검색어 서비스의 모습은 변하겠지만 온라인상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시대와 호흡하는 기준을 찾아나가려는 네이버의 노력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