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2018년형 ‘LG씽큐TV’를 선보인다.

LG전자는 9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8’에서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2018년형 ‘올레드TV씽큐’, ‘슈퍼울트라HDTV씽큐’를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LG전자, CES2018에서 인공지능 '씽큐' 적용한 TV 선보여

▲ 인공지능기능을 탑재한 LG전자의 2018년형 '올레드TV씽큐', '슈퍼울트라HDTV씽큐'.


이 제품들은 LG전자의 독자적 인공지능 기술 ‘딥씽큐’와 구글의 인공지능 비서 ‘구글어시스턴트’가 적용돼 사용자들이 음성만으로 TV를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들은 음성으로 화면모드 변경, 채널변경, 볼륨조절 등 다양한 TV기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리모콘의 음성인식 버튼을 누른 후 “시네마 모드로 변경해줘”, “지금 보고 있는 프로그램 끝나면 꺼줘”, “게임기에 연결해줘”라고 말하면 해당 기능이 작동하는 식이다.

미국 소비자들은 구글어시스턴트를 통해 일정 및 맛집 검색, 스포츠경기 점수확인 등 구글이 제공하는 정보검색 서비스도 누릴 수 있다. 또 공기청정기, 에어컨, 로봇청소기, 스마트조명 등 구글어시스턴트와 연동되는 가전제품들도 작동할 수 있다.

LG전자는 2018년형 TV의 화질도 기존보다 높였다.

올해 올레드TV 주요모델에 LG전자의 화질칩 ‘알파9’을 적용해 기존보다 화면상의 잡티를 줄이고 ‘깨끗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했다. 또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명암비율, 선명도, 입체감을 개선해준다.

슈퍼울트라HDTV는 나노셀기술에 ‘풀어레이로컬디밍’ 기술을 더해 LCDTV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명암비율을 높이고 빛 번짐을 없앴다. 

로컬디밍은 백라이트의 LED광원을 부분적으로 껐다 켜 TV의 명암비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화면의 어두운 부분에서는 LED광원을 끄고 밝은 부분에서는 켜는 식이다.

나노셀은 지난해 초 LG전자가 처음 공개한 기술로 약 1나노미터(nm) 크기의 미세 분자구조를 활용해 더욱 많은 색을 정확하게 표현해 준다.

권봉석 LG전자 HE사업본부장 사장은 “인공지능 기능과 더욱 완벽해진 화질로 기존 TV에서 느끼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