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블라인드채용 방식이 민간기업으로 조금씩 확산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11월6일부터 20일까지 506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블라인드채용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블라인드채용 방식, 공공부문에서 민간기업으로 확산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입사지원서에 가족관계 등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뺀 블라인드 입사지원서를 적용한 기업은 전체의 11.3%로 조사됐다.

2016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봤을 때 인적사항 각 항목별 요구비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가족관계를 요구한 기업은 41.9%로 1년 전보다 36.9%포인트 줄었고 학력사항을 적도록 한 기업은 86.9%로 1년 사이 7.1%포인트 감소했다. 본적(출신지)를 요구한 기업은 0.7%에 그쳤다.

김덕호 고용노동부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정하고 편견에 얽매이지 않는 채용관행의 정착이 중요하다”며 “블라인드채용과 관련한 가이드북 배포, 컨설팅 지원을 늘리고 채용의 투명성을 높인 기업을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기업의 블라인드채용 도입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사결과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부문에서 전반적으로 인적사항의 요구비중이 가장 높았고 금융·보험부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학력사항과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입사지원서가 아닌 면접과정에서 인적사항을 면접위원에게 제공하지 않는 블라인드 면접을 실시하는 기업은 전체의 35.2%로 나타났다. 블라인드 면접을 도입한 기업은 업종별 편차가 크게 나타나 금융·보험부문이 76.4%로 가장 높았고 건설부문은 6.8%, 숙박·음식부문은 3.2%에 그쳤다.

직무능력을 중심으로 발표, 토론 등 체계화된 기법의 구조화된 면접방식을 활용하는 기업은 17.0%로 조사돼 대부분 기업이 특별한 형식이 없는 비구조화 방식으로 면접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직원채용 시 지원자의 직무적성(75.1%)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나 직무중심 평가를 위한 객관적 자료를 보유한 기업은 53.6%에 그쳤다.

채용 공고 시 직무수행 요건이 포함된 설명자료를 공지하는 기업은 41.1%에 불과해 취업준비생은 취업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합격사유를 통보하는 기업은 전체의 10.3%로 대부분 응시자는 탈락사유 등 평가결과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종갑 대한상공회의소 공공사업본부장은 “블라인드채용을 도입한 기업은 실제로 업무성과 등에서 긍정적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며 “블라인드채용제도가 효율적으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구조화 면접방식 등 직무중심의 평가기준 설계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블라인드채용은 채용 과정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입사지원서와 면접과정 등에서 출신지역, 가족관계, 학력사항 등 인적사항을 배제하는 채용방식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6월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블라인드채용을 채택할 것을 지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