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내년에 LCD TV출하량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해외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하고 있는 중국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고 시장에서 선두지위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다.
![]() |
||
▲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부문 사장 |
삼성전자는 올해 출하 예상치인 4800만 대에 비해 20.8%, LG전자는 올해 예상치 3400만 대에 비해 11.7%를 늘린 셈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재 세계 1, 2위 LCD TV 완성품 업체다. 두 회사가 내년에 공격적 목표를 세운 것은 중국업체들이 해외시장에서 공략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업체인 TCL의 경우 올해 1430만 대를 출하할 것으로 예상돼 3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소니는 올해 1250만 대 출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중국업체인 하이센스와 스카이워스도 올해 각각 1150만 대, 950만 대를 출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일본업체인 도시바, 파나소닉, 샤프를 앞지를 것으로 점쳐진다.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UHD(초고해상도) TV를 앞세운 LCD TV는 5% 전후의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UHD TV는 내년에 판매가 2배 이상으로 늘면서 판매비중도 전제 TV 판매의 5.6%에서 13.0%로 확대될 것으로 디스플레이서치는 전망했다.
또 퀀텀닷 필름을 채용해 화질을 개선한 LCD TV인 퀀텀닷 TV도 LCD TV시장의 새로운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
▲ 하현회 LG전자 홈엔테인먼트(HE) 부문 사장 |
디스플레이 서치는 퀀텀닷 TV가 첫선을 보이는 내년에 출하량이 195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공격적으로 LCD TV출하량을 늘려 중국업체들의 추적을 따돌리고 선두지위를 유지하려는 것으로 분석했다.
데이비드 셰 디스플레이서치 부사장은 “LCD TV 완제품 선두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출하량 목표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과 중국업체들의 점유율은 늘고 일본업체들의 점유율은 감소하는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