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연화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현대차는 12월에 11월보다 글로벌 출고량이 개선되겠지만 역성장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며 “수출 물량은 지난해 기저가 높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 출고량도 인도 등 신흥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경쟁심화로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왼쪽)과 이형근 기아자동차 부회장.
류 연구원은 “현대차는 국내에서 신차효과로 선전하겠지만 해외부문 침체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바라봤다.
현대차는 11월 수출물량과 해외 출고량의 감소 탓에 글로벌 출고량이 지난해 11월보다 10.4%나 줄었다.
다만 국내물량은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정책 종료로 기저가 낮은 데다 코나와 제네시스 G70 신차효과 덕에 13% 늘었다.
반면 수출물량은 해외시장 경쟁심화와 재고부담 탓에 13% 줄었다.
해외 출고량은 지역별로 미국에서 모델 노후화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33% 줄었고, 중국에서 충칭공장 가동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기저가 높았던 탓에 25% 감소했다.
11월 해외 지역 가운데 인도,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기타 지역에서 소매 판매량이 5.7% 줄어들면서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류 연구원은 “현대차는 인도에서 소매 판매량이 늘었지만 성장세를 보였던 러시아에서 역성장으로 돌아섰고 주력 수출지역인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소매 판매량이 각각 18%, 37% 줄어든 탓”이라며 “최근 유가가 오른 데다 기저효과 등으로 중동, 아프리카에서 회복세를 보이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기아차도 11월에 이어 12월도 역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류 연구원은 “기아차는 12월에 11월보다 글로벌 출고량이 개선되지만 역성장 기조는 여전할 것”이라며 “수출물량은 지난해 기저가 높아 역성장하며 해외 출고량은 중국, 미국공장 부진으로 어려움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아차는 11월 국내물량도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치며 글로벌 출고량이 지난해 11월보다 14.6% 줄었다.
국내물량은 쏘렌토 스토닉 니로 등 RV 판매 호조 덕에 0.9% 늘었지만 수출물량은 해외시장 경쟁심화 탓에 10% 줄었다.
미국 출고량은 주력모델 노후화 탓에 33% 줄었고 중국 출고량도 가격 경쟁력 약화와 사드보복 여파 탓에 37%나 감소하는 등 해외 출고량은 23% 뒷걸음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