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영 기자 junyoung@businesspost.co.kr2017-10-11 17:50:21
확대축소
공유하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국정감사에서 가계통신비 인하방안과 관련해 공세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두 회사는 고가 단말기 논란을 해명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단말기 완전자급제를 놓고는 엇갈린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왼쪽)과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 사장.
11일 국회에 따르면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과 최상규 LG전자 국내영업총괄 사장이 12일부터 3주 동안 열리는 2017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채택된 것으로 알려졌다.
고 사장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며 최 사장은 참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감에서 다뤄질 안건은 국내 단말기가격 및 단말기 완전자급제 등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가계통신비 절감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단말기 제조사들도 부담을 나눠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국내 단말기 평균가격이 높다는 일부 의원들의 주장에 맞서 적극적으로 대응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두 회사는 국가마다 선호하는 단말기 기종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나라에 따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모델이나 기종이 다른 만큼 판매 전략도 다양해지기 때문에 단순히 평균 판매가격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라는 것이다.
또 국가별로 단말기 판매가격을 다르게 책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해명하는 데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가별로 삼성전자가 공급하는 동일한 기종의 가격은 거의 유사하다”며 “다만 나라에 따라 세금이나 이동통신사별로 제공하는 혜택 등에 따라 소비자단에 공급되는 단말기 가격이 달라질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노트8’의 국내 출고가는 64GB모델의 경우 109만4500원으로 미국 이동통신사 버라이즌, AT&T 등에서 제공하는 가격대인 930~960달러(한화 약 105만 원~ 108만 원)와 큰 차이가 없다. LG전자 ‘V30’ 역시 64GB모델의 국내 출고가가 94만9300원으로 미국 가격대인 800~810달러(한화 약 92만 원∼93만 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시장조사기관 가트너가 9월 발표한 자료를 인용해 2015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삼성전자의 국내 단말기 평균 판매가격이 508달러로 해외 평균 판매가격인 223달러보다 2.3배가량 높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LG전자 역시 국내와 해외 평균 판매가격 차이가 2.1배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8일 ‘연간 국내 휴대폰 판매동향’을 공개하고 국내 단말기시장이 고가제품 위주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중저가(40만 원~80만 원) 단말기 판매비중은 7.3%에 그친 반면 80만 원 이상 고가 단말기 판매비중은 60%에 이르렀다.
고가 단말기 논란에 이어 단말기 완전자급제도 국감장에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삼성전자는 반대, LG전자는 찬성으로 입장이 갈릴 수 있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통신서비스와 단말기 유통을 완전히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 제도가 도입되면 소비자들은 온라인 사이트 등을 통해 단말기가격을 비교한 후 가전제품을 구매하듯이 스마트폰을 살 수 있다. 기존에는 주로 단말기와 통신서비스를 한꺼번에 구입해 통신요금이나 단말기 가격을 알 수 없었다.
삼성전자 주요 경영진들은 9월12일 ‘갤럭시노트8 미디어데이’에서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업으로 국내 단말기가격을 한국에서만 높이거나 낮추기 어렵다”며 “완전자급제가 시행되면 가격이 많이 내려갈 것으로 시장에서 기대하는 데 거기에서 온도차이가 생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삼성전자가 국내에서 단말기 가격경쟁을 하게 될 경우 글로벌시장에서도 가격을 낮춰야하는 부담이 큰 탓으로 파악된다. 미국 등에서 이미 마케팅에 큰 비용을 들이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을 더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울 수 있다.
반면 LG전자는 단말기 완전자급제를 국내 단말기시장에서 반등을 노릴 기회로 여길 가능성이 높다. 단말기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통해 낮은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