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정부의 중국노선 국제항공운수권 보장 방침에 따라 수익성이 좋아질 수도 있다.
중국노선 운수권이 보장되면 중국노선에서 항공기 운항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왼쪽)과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 |
3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하반기부터 중국노선에서 항공기 운항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에 대응해 지방공항의 노선 다각화를 지원하는 등 항공분야 추가지원대책을 30일 내놓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중국노선 국제항공운수권 의무사용기간을 올해 전면 면제하는 방식으로 국적항공사들 중국노선 운수권을 보장하기로 했다.
국제항공운수권은 국제항공운송사업자가 외국지역을 운항할 수 있는 권리인데 항공회담을 통해 운항횟수가 정해지고 해마다 항공사들에 배분한다. 의무사용기간을 유지하지 못한 노선 운수권은 국토교통부가 회수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4월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에 대응해 의무사용기간을 애초 20주에서 10주로 줄였다. 중국 사드보복 조치가 장기화하는 데 대응해 이번에 추가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태국이나 대만 등 항공사가 취항이나 증편을 희망하는 국가와 항공회담을 진행해 운수권 확대를 추진하고 중국노선 등 탑승률이 저조한 노선 판촉비용을 2억 원까지 지원하는 등 방안들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
두 항공사는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에 대응해 소형기를 중국노선에 투입하는 등 방식으로 중국노선에서 공급을 줄였지만 중국노선 운수권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노선에서 항공기를 지속적으로 운항해왔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2016년 기준으로 중국노선 매출비중이 각각 13%와 20%에 이른다. 중국노선에서 승객을 채우지 않고 항공기를 운항할 경우 수익성에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하반기 수익성에 타격을 입었다. 올해 상반기 두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6.3%와 2.3%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2.2%포인트와 0.1%포인트 떨어졌다.
중국이 한국 단체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한 올해 3월15일부터 7월31일까지 중국노선 여객수는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44.8% 줄었다. 중국노선의 국제선여객수 비중이 27%에 이르는 만큼 결국 올해 7월 들어 국제선여객수도 지난해 7월과 비교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