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의 시행을 앞두고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늘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높은 조달금리가 발행에 부담이 될 수 있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보험사들이 잇따라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며 자본확충에 나섰다.

  보험사, 새 국제회계기준 앞두고 신종자본증권 발행 늘릴 듯  
▲ 보험회사들이 자본확충을 위해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을 늘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금융위원회가 3월8일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대비해 개최한 ‘보험권 국제회계기준 도입준비위원회’ 출범(킥오프) 회의의 모습. <뉴시스>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영구적이고 이자지급이 임의적인 증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행 당시 만기는 30년이지만 동일한 조건으로 연장할 수 있어 사실상 영구채로 분류된다.

채권에 속하면서도 자본에 가까운 성격을 띠고 있어 바젤-Ⅲ(은행 건전성 국제기준)에 따라 재무제표에서 자본으로 인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보험사들은 이런 특징에 주목해 신종자본증권을 잇따라 발행하고 있다. 한화생명이 4월 대형보험사 가운데 처음으로 5천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데 이어 교보생명은 5억달러(5670여억 원)에 이르는 신종자본증권을 해외에서 발행하기도 했다.

올해 들어 보험업계에서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이 계속되는 이유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2021년 적용되면 보험사들의 부채가 시가로 평가되면서 급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3월부터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 준비위원회를 꾸려 제도변경을 대비해왔는데 ‘보험업감독규정 및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을 개정해 28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보험사들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수 있는 목적에 ‘재무건전성 기준 충족’을 추가했다.

제도지원까지 뒷받침되면서 금융업계에서는 보험사들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사례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높은 금리부담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제약이 될 수도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긴 만큼 다른 종류의 채권에 비해 조달금리가 더 높기 때문이다.

자산의 운용수익률을 높여 이자지급 부담을 방어하지 못할 경우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오히려 재무건전성을 악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일 경우 신종자본증권 발행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종자본증권의 금리는 국고채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서 결정되는데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금리의 움직임을 보고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시기를 저울질 할 것”이라며 “특히 지급여력비율(RBC)을 높여야 하는 보험사들을 중심으로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가 지급할 수 있는 보험금의 여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보험사의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눠 구한다. 따라서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가용자본이 늘어나면 지급여력비율도 올라가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용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