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민간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또 기업공개(IPO) 일변도인 투자회수 방식을 인수합병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
|
|
▲ 박인숙 바른정당 의원. |
박인숙 바른정당 의원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바이오산업 활성화:공공 및 민간 투자 전략’을 주제로 제34회 국회바이오경제포럼·제4회 과총바이오경제포럼을 열었다.
포럼에서 글로벌 제약강국 진입을 위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는 방안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다.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 사업단장은 국내 신약 연구개발 투자가 7년간 1조9천억 원, 연평균 2753억 원에 그치고 있다며 글로벌 제약기업과 규모의 경제에서 뒤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민간투자가 이뤄지기 어려운 초기단계에 투자, 희귀질환과 저수익분야 투자, 장기적이고 대규모 투자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묵 단장은 봤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민간투자 유인을 제공하는 마중물 투자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간투자가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로 영세한 제약기업 규모, 투자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과 함께 투자금 회수가 어렵다는 점을 꼽았다.
미국은 기업공개 40%, 인수합병 60% 정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기업공개 비율이 95%로 사실상 유일한데다 소요 기간도 8년으로 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특례상장 방식을 통해 상장이 쉽게 하고 퇴출도 쉽도록 기업공개정책을 개선하고 기업가치를 증대하는 방향으로 인수합병을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묵 단장은 정부와 기업, 연기금과 모태펀드 등이 참여하는 신약개발 메가펀드도 제안했다. 정부와 연기금이 우선 손실을 보장해주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기업과 민간투자를 끌어들여 10년간 1조 원을 투자하는 메가펀드를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기 단계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고 제약산업 생태계를 완성해 글로벌 시장공략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묵 단장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해 글로벌펀드 조성과 민간 투자유인책 마련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